임무변화 따른 변화..대폭은 아니다
작통권 반환, 韓 2011- 美 2009년 제의
(워싱턴=연합뉴스) 윤동영 이기창 특파원 = 미국은 앞으로 전시작전통제권의 한국군에 대한 반환 등을 통해 주한미군의 역할이 바뀜에 따라 주한미군 규모를 더 줄이게 될 것이나 추가 감군 규모가 크지는 (substantial) 않을 것이라고 미 국방부 고위관계자가 7일(현지시각) 말했다.
한미 양측은 또 오는 10월 한미안보연례협의회(SCM) 때까지 전시 작전통제권 반환 문제를 매듭짓는다는 목표 아래 협의를 계속하고 있으며, 반환 시점으로 한국은 2011년을 제의한 반면 미국은 2009년을 희망하고 있다고 이 관계자는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한국군의 전력 증강과 북한의 위협에 대한 평가에 따라 한미 군사관계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고 설명하고, 작통권 반환 계획에 따라 주한미군은 전투작전에서 지원역할을 맡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도널드 럼즈펠드 국방장관과 윌리엄 팰런 미 태평양사령관도 지난 3월 의회 청문회와 기자회견 등에서 작통권 반환 등으로 한국군이 대북 방어의 주된 역할을 맡고 주한미군이 지원역할을 하게 되면 한국 안보에 불안을 조성하지 않는 속도와 방식으로 주한미군의 추가 감축이 가능할 것이며, 주한미군은 지상군보다 해.공군 위주로 지원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었다.
한.미는 미국의 해외주둔미군재편 계획 등에 따라 2008년까지 1만2천500명의 미군을 단계적으로 감축, 주한미군을 2만5천명 선에서 유지키로 합의했었다.
국방부 고위관계자는 주한미군의 추가 감축 가능성에 대해, 아무것도 아직 정해진 것은 없지만 결코 상당한(significant) 규모의 감축을 논의하고 있지는 않으며 실질적인 군사력 증강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전제한뒤, 여건이 허락할 경우 이미 합의한 2만5천명선 이하로의 감축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주한 미군 감축이 일괄철군 계획에 따른 것이 아니라 예컨대 미군 500명이 맡고 있던 임무가 한국군에 넘어가면 그만큼 숫자를 줄일 수 있으나 다른 임무에 300명을 증원하는 식의 변동이라면서 추가(additional) 감축은 가능하지만 이는 실질적인(substantial) 감축은 아니며, 전투력에 관한 것도 아니다라고 못박았다.
그는 또 유엔사령부는 그대로 남아 미군 고위장성이 사령관으로 이를 지휘할 것이라며 현재로서는 미군사령관의 계급 격하는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한국군이 특정 시점까지 ‘완벽한 능력’을 갖추지 못할 경우, 미국은 계속 그 같은 능력을 제공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그는 한국 내 공군 사격장 문제가 아주 심각한 사안이라면서 향후 수 개월 내에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주한 미 공군 부대들이 교대로 한반도를 떠나 사격훈련을 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주한 미 공군이 한반도를 떠나 훈련을 해야 한다는건 한미 동맹에 아주 나쁜 징조이며 북한에 보낼 수 있는 최악의 신호라고 지적했다.
ydy@yna.co.kr
lkc@yna.co.kr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