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최고법원인 연방대법원이 창설된 것은 1789년이다. 미국 정부와 내각이 수립되고 연방헌법이 공식 발효된 그 해에 함께 출범했다. 처음에는 대법관 수가 정해지지 않아서 6~10명으로 줄었다 늘었다 했으나 1869년에 9명으로 확정되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234년의 역사 동안 대통령이 지명하여 상원이 인준한 대법관은 총 121명, 종신직이다 보니 한번 임명되면 20~30년 이상 자리를 지키는 경우가 많아서 교체가 상당히 느린 편이다.그 오랜 세월 동안 대법관들은 전원 백인남성이었다. 여기에 처음 다른 인종이 합류한 것이 1967년 최초의 흑인 대법관 더굿 마샬이었고, 여성으론 1981년 샌드라 데이 오코너가 처음 대법관 자리에 올랐다. 이후 2009년에 첫 히스패닉 여성대법관 소니아 소토마이어, 2022년 첫 흑인 여성대법관 케탄지 브라운 잭슨이 각각 ‘최초’의 기록을 썼다.현재 9명의 대법관들은 존 로버츠 대법원장을 필두로 클래런스 토마스, 새뮤얼 알리토, 소니아 소토마이어,
이상한 일이다. 분명 평소에는 착하고 나무랄 데 없는 아이였는데, 여행을 하며 아이는 마치 다른 사람이 된 것 같았다. 아이는 수시로 징징대거나 토라지거나, 과하게 흥분했다. 7살 첫째 아들은 반복된 일상이 결여된 무한한 자유가 주어진 여행지에서 또다른 자아를 내보였다. 여행에서 보여진 아이의 새로운 자아는 어딘가 불안하고, 불완전하며, 통제 불가능한 상태로 보였다. 아! 이 아이는 반복되고 규칙적인 일상에서 오롯이 안정감을 느끼는구나, 새삼 깨닫고 만다.반복되는 생활, 이른바 ‘루틴’(routine)에 대한 갈망은 비단 아이에게만 있던 건 아니었다. 나 또한 여행에서 돌아와 본래의 삶의 궤도로 안착하자 편안한 감정을 느꼈다. 아이들을 학교에 보내고, 일을 하고, 운동을 가고, 살림을 하는 다람쥐 쳇바퀴 돌듯 반복되는 일상에서 ‘쉬고 있다’는 묘한 차분함을 누릴 수 있었다. 분명 여행지에서 보다 더 빡빡한 일과인데도, 마치 휴식을 하듯 긴장감이 없는 상태였다.별다를 것 없는 일상에서
새로운 정책 아이디어를 마련하지 못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과거의 ‘히트곡’을 다시 틀기 시작했다. 그의 재활용 공약 목록에는 ‘오바마케어 폐기’도 포함되어있다. 정치적으로나 정책적인 면에서 오바마케어 폐기만큼 방향을 잘못 잡은 공약도 드물다.‘어포더블 케어 액트’(ACA)로 알려진 오바마케어는 2016 대선에서 공화당의 승리를 도운 효자 이슈였다. 오바마 전 대통령의 최대 치적으로 꼽히는 ACA는 2010년에 제정된 이후 꼬박 6년간 대다수 유권자들의 원성을 샀다.하지만 유권자들의 부정적 반응은 의료개혁법 자체와는 거의 상관이 없었다. 이 법의 시행이후 극히 기본적인 커버리지만 제공하는 저가 보험이 단계적으로 폐기된다는 사실에 일부 미국인들은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또한 소수의 비평가들은 정부가 전 국민의 보험가입을 보장하거나, 보험 가입자들이 접할 수 있는 구체적인 의료서비스의 종류를 특정 하는 것이 과연 옳은가에 대한 ‘철학적 반론’을 제기했다.그러나 ACA에 결정적 타격
LA에서만 40년 넘게 살다 이곳 뉴저지 브리지워터로 옮겨와 어느새 두 계절을 훌쩍 보내고 겨울의 초입에 들어섰다. 이사 직전 자동차 도난사고를 당한데 이어 아내가 팔 다리를 다치는 낙상사고마저 있었고 도착해서는 소소한 행정 사무들의 처리가 늦어져 다소 피곤하고 실망감이 들기도 했었다.그런 가운데 지난달 추수감사절을 뜻 깊게 보냈다, 지금부터 403년 전 갖은 고난 끝에 미국 동부에 상륙한 청교도들의 결단과 감사를 기억하며 감히 그와는 비교할 수도 없는 여정이었지만 ‘김씨네 민족 대이동’을 완수하고 먼저 와있던 아들, 딸네와 함께 동부에서 첫 번째 추수감사절을 보낼 수 있었다.요즘 곳곳에서 ‘변화와 혁신’이 화두가 되고 있다. 내게 있어서도 동부로의 이주는 인생의 후반기에 적지 않은 변화를 택한 셈이다, 돌아보면 때로는 타의에 의한 것도 없지 않았으나 그것마저도 애써 긍정적인 변화로 받아들이면서 이 나이 되도록 끊임없이 새로운 것, 새로운 세상을 꿈꾸며 살아왔다.70년 가깝게 장수하
지난 2주 사이 지미 카터의 아내 로잘린에 이어 투자가 찰리 멍거와 헨리 키신저, 첫 연방 여성 대법관 샌드라 데이 오코너가 각각 96, 99, 100, 93세로 한꺼번에 세상을 떠난했다. 모두 칼럼 거리가 되기에 충분한 삶을 살았지만 여기서는 일반에게 덜 알려진 멍거 얘기를 해볼까 한다.투자에 관심이 별로 없는 사람들도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 워런 버핏의 이름은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그는 역사상 가장 위대한 투자가로 평가받고 있지만 그가 이런 성공을 거두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한 인물이 있다. 찰리 멍거가 그 사람이다.같은 네브라스카 오마하 출신으로 버핏보다 6살 많은 그는 버핏의 할아버지가 운영하는 잡화상에서 일하기도 했지만 그 때 버핏과 만난 적은 없다.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모두 법조인인 그는 미시건 대학에서 수학을 전공했으나 제2차 대전에 공군으로 참전하기 위해 학교를 중퇴하며 그 후 아버지 모교인 하버드 로스쿨에 진학하려 하지만 대학 졸업장이 없다는 이유로 입학이 거부된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2024 대선에서 승리해 재집권을 하게 되면 ‘오바마케어’를 폐지하겠다고 공언했다. 트럼프 전 대…
한 해의 마지막 달, 송년 시즌이 시작되었다. 다양한 모임이 줄을 잇고 쇼핑과 나들이가 잦아지는 계절, 연말연시는 분주하고 …
환불 & 교환“보통은 할러데이 시즌이 끝날 때까지 기다리던데요…”
Koreatimes.com 서비스는 Ktown1st.com과 통합계정입니다. 계정이 없으신 분은 회원가입을 해 주세요.
계정에 등록된 이메일 주소로 계정정보를 보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