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회식 전 인터뷰에서는 “이번엔 안 벗겠다” 말 뒤집어

(평창=연합뉴스) 9일 오후 강원도 평창 올림픽스타디움에서 열린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막식에서 남태평양 섬나라 통가의 크로스컨트리 스키 국가대표 피타 니콜라스 타우파토푸아가 웃통을 벗고 국기를 들고 입장하고 있다.
통가 태권도 국가대표 피타 니콜라스 타우파토푸아(35)는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개회식 당시 웃통을 벗은 채 근육질의 상체에 기름을 칠하고 등장해 단숨에 세계적인 스타가 됐다.
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로 변신해 천신만고 끝에 2018 평창동계올림픽 출전권까지 따낸 타우파토푸아는 개회식을 앞두고 "추위 때문에 이번에는 벗지 않겠다"고 말했다.
타우파토푸아는 말을 뒤집었다. 그는 평창 강추위에도 다시 웃통을 벗고 등장해 다시 한 번 전 세계의 이목을 끌었다.
타우파토푸아는 9일 평창 올림픽플라자에서 열린 평창올림픽 개회식 선수단 입장에서 통가 국기를 들고 91개 국가 가운데 80번째로 등장했다.
이번에도 그는 상체에 온통 기름을 발랐다. 추운 날씨 탓에 닭살이 돋았지만, 그의 상체는 화려한 조명을 받아 반짝였다.
타우파토푸아는 자신이 입고 온 통가의 전통복장을 '마나파우'라고 소개한 뒤 "전혀 춥지 않다. 난 통가에서 왔고, 태평양을 건너왔다. 이런 추위는 아무것도 아니다"라고 강인한 전사와 같은 면모를 뽐냈다.
리우올림픽이 끝난 뒤 처음으로 스키를 시작한 그는 "올림픽 출전권을 얻어 다행이다. 경기에 나가면 무척 흥분할 것 같다. 리우가 여기보다는 조금 더 따뜻하지만, 국가를 대표해 국기를 드는 건 좋은 기회"라고 강조했다.
태권도에 이어 스키까지 정복한 그는 "다음 도전은 무엇인지 나도 모르겠다. 핸드볼이 될 수도 있지만, 아쉽게도 팀원이 필요하다"며 웃었다.앞서 태평양의 섬나라 버뮤다 선수단은 강추위에도 빨간 반바지를 입고 등장했다.
버뮤다 기수 터커 머피는 너무 추웠는지 딸기코가 됐지만, 아예 상체를 드러낸 타우파토푸아 때문에 기억에서 잊혔다.
개회식을 찾은 대부분 선수는 추운 날씨 탓에 온몸을 꽁꽁 싸맨 채 얼굴과 손만 내밀고 나왔다.
대신 전통 의상과 특색있는 장갑, 페이스 페인팅 등을 통해 개성을 뽐냈다.
그리스에 이어 두 번째로 입장한 가나 선수단은 추위를 쫓으려는 듯 전통춤을 들썩거리며 입장했다.
평창올림픽에 244명이 출전해 역대 단일 선수단 최다 규모를 자랑하는 미국 선수단은 손목에 갈기가 붙은 거대한 장갑을 끼고 나왔다.
싱가포르 선수단 입장 때는 한국 쇼트트랙의 전설 전이경이 함께했다.
싱가포르 쇼트트랙 대표팀 코치인 전이경은 제자 샤이엔 고의 뒤에서 환한 미소를 띠며 입장했다.
또 한 번의 '쿨러닝' 신화에 도전하는 자메이카 선수단은 레게의 나라답게 흥겹게 춤추며 입장해 관객들의 박수를 받았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