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군의 날 기념식서 北위협 대응 ‘한국형 3축 체계’ 자산 대미 장식
▶ 美 전략폭격기 B-1B도 비행…주한미군도 시가행진 참여

(성남=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1일 성남 서울공항에서 열린 건군 76주년 국군의날 기념식에서 부대 사열도중 고위력 탄도 미사일 ‘현무-5’ 앞을 지나고 있다. 2024.10.1 [대통령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꽃가루 속 국군의날 시가행진. 건군 제76주년 국군의 날 시가행진이 열린 1일 서울 중구 세종대로에서 국군 지상전력 장비들이 시가행진을 펼치고 있다. 2024.10.1
'괴물 미사일'로 불리는 국군의 고위력 현무 미사일 현무-5가 76주년 국군의 날 기념식에서 최초로 공개됐다.
1일(이하 한국시간) 경기도 성남 서울공항에서 열린 국군의 날 기념식에는 북핵 억지력의 핵심인 '한국형 3축 체계' 장비들이 등장했다.
3축 체계는 미사일 발사 징후를 사전에 포착해 발사 전에 제거하는 킬체인에 한국형미사일방어(KAMD), 대량응징보복(KMPR)을 더한 개념이다.
고도 40㎞ 이상에서 적 탄도미사일을 요격하는 장거리 지대공유도미사일(L-SAM)이 올해도 등장했고, 킬체인 핵심 전력 중 하나인 스텔스 전투기 F-35A가 모습을 보였다.
3축 체계 장비 분열의 대미를 장식한 것은 대량응징보복 수단인 현무-5였다. 탄두 중량이 세계 최대인 8t에 달하는 현무-5는 북한 지휘부가 은신한 지하 벙커를 파괴하는 미사일이다.
9축 18륜 이동식 발사대(TEL) 위에 거대한 둥근 발사관(캐니스터)을 얹은 차량 2대가 기념식장 안으로 이동하자, 군은 "오늘 최초로 공개된 초고위력 탄도미사일 현무"라고 소개했다. 현무-5는 발사관 안에 실려 있어 외형이 직접 공개되진 않았다.

1일 성남 서울공항에서 열린 건군 76주년 국군의날 기념식에서 ‘현무-5’로 불리는 초고위력 탄도미사일 현무 등 3축체계의 핵심무기들이 입장 준비를 하고 있다. 2024.10.1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국방부는 대남 쓰레기 풍선 살포와 탄도미사일 발사 등 북한의 복합 도발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보내는 차원에서 현무-5를 올해 국군의 날을 계기로 처음 공개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기념식에서 "북한이 핵무기 사용을 기도한다면 우리 군과 한미동맹의 결연하고 압도적인 대응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그날이 바로 북한 정권 종말의 날이 될 것"이라며 "우리 군은 강력한 전투역량과 확고한 대비 태세를 바탕으로 북한의 도발을 즉각 응징할 것"이라고 말했다.

(성남=연합뉴스) 미 공군의 초음속 전략폭격기인 B-1B 랜서(오른쪽)가 1일 성남 서울공항에서 열린 건군 76주년 국군의날 기념식에 처음으로 등장해 F-15K의 호위를 받으며 비행하고 있다. 2024.10.1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미 공군의 초음속 전략폭격기 B-1B 랜서도 올해 국군의 날 기념행사에 처음 등장했다.
미국 텍사스의 다이스 공군기지에서 출격해 날아온 것으로 전해진 B-1B는 F-15K 전투기 2대의 호위를 받으며 서울공항 상공을 갈랐다.
'죽음의 백조'로 불리는 B-1B는 최대 속도 마하 1.25에 최대 1만2천㎞를 비행할 수 있다. 괌 미군기지에서 출격한다면 한반도까지 2시간이면 날아올 수 있다. 핵무기는 운용하지 않지만, 최대 57t에 달하는 무장을 장착할 수 있다.
B-1B의 한반도 전개는 한미 연합방위태세의 견고함을 과시하려는 의도로 풀이되며, 이날 공식 출범한 한국군 전략사령부 창설을 축하하는 의미도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국군의 날 우천 탓에 첫선을 보이지 못했던 한국형 초음속 전투기 KF-21도 하늘을 가르며 갈증을 해소했고, '잠수함 킬러' P-8A 해상초계기, 대테러 작전용 다족보행로봇, 자주도하장비 '수룡' 등도 국군의 날 행사에서 처음 등장해 눈길을 끌었다.
이날 오후에는 숭례문∼광화문 일대 세종대로에서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으로 시가행진이 진행됐다.
블랙이글스 축하 비행 속에 대규모 병력과 장비가 참가했다. 윤석열 대통령도 2년째 모습을 드러냈다.
6·25 참전용사와 북한 목함지뢰 도발로 두 다리를 잃은 하재헌 중사 등 호국 영웅과 유족 8명이 참여한 카퍼레이드가 펼쳐져 눈길을 끌었다.
한미 동맹의 상징인 주한 미8군 군악대와 스트라이크 여단 장병들도 세종대로 위에 모습을 드러냈다. 국군의 날 시가행진에 주한미군이 참여한 것은 지난해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다.
국군의 날 시가행진이 2년 연속으로 열린 것은 전두환 정권 때 이후 40년 만이다. 1980년부터 1984년까지 매년 병력과 장비를 동원한 시가행진이 있었고, 이후에는 대체로 5년에 한 번 열리다가 문재인 정부 때는 한 차례도 없었다.
군은 이번 행사가 강한 국군의 위용을 과시하고, 국군장병의 사기를 높이는 동시에 국민들의 안보 의식을 고취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