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대 할아버지가 노인영어교실에서 만난 60대 할머니에게 두번이나 데이트 신청을 했으나 번번히 거절당했다. 세번째, 할아버지는 이번이 마지막이라는 각오로 또 할머니에게 전화를 걸어 데이트 신청을 했다. 이번에도 할머니는 거절을 하면서 “저는 항상 새끼줄이 꽉차서 데이트할 시간이 없습니다”라고 말했다. schedule(스케쥴)을 ‘새끼줄’이라고 잘못 발음한 것이다. 할아버지는 오기가 나서 “당신만 바쁜척 하지마시오! 당신은 새끼줄이 꽉 찾는지 모르지만 나는 새끼줄보다 더 질긴 ‘쇠줄’이 꽉 찾소!”라고 소리를 지르고는 전화를 끊었다는 얘기다. 그런데 할아버지의 발음 ‘쇠줄’이 사실은 할머니의 발음 ‘새끼줄’보다 훨씬 더 schedule의 정확한 발음에 가깝다. 왜냐하면, 영국 사람들은 schedule을 "쇠줄”이라고 발음하기 때문이다.
미국영어와 그 모태인 영국영어는 근본적으로 똑같은 언어다. 다만 대서양을 사이에 두고 오랫동안 멀리 떨어져 살아온 관계로 여러 가지 차이점이 생겨났다. 마치 남한 말과 북한 말에 적지 않은 차이가 생긴 것처럼 말이다. 미국영어와 영국영어의 차이는,
첫째, 일부 단어의 스펠링이 달라진 것을 들수있다. 예컨대 ‘비행기’를 미국에서는 airplane이라 하지만 영국서는 aeroplane이라 쓰고, ‘색갈’도 미국서는 color, 영국서는 colour로 쓴다. 또 ‘문명’을 미국서는 civilization이라고 쓰지만 영국서는 civilisation이라고 쓴다. ‘실형한다’도 미국서는 realize, 영국서는 realise라 쓰고, ‘방어’도 미국서는 defense, 영국서는 defence라 쓴다.
둘째, 발음도 많이 다르다. 앞서 소개한 schedule 발음의 차이도 그 한 예다. alphabet의 마지막 글자 Z를 미국서는 “지이(zee)”라고 읽는데, 영국인은 “젯(zed)”이라고 읽는다. 또 job을 미국서는 “자압”이라 발음하는데 영국인은 “조옵”이라 하는 것과 같이 O 발음에 차이가 크다. 미국인들은 can’t를 “캐엔트”라 발음한데 영국인은 “카안트”라 발음한다. dance도 미국인은 “댄스? 영국인은 “단스”라고 한다. ask, half, grass 등의 a를 미국인은 “애”로 발음하고 영국인은 “아”로 발음한다. supermarket, superman 등의 super의 발음도 미국에서는 “수우퍼”인데 영국에서는 “슈우퍼”다.(계속)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