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후 소득총액 기존수입 73% 넘어야 ‘현상유지’
1965~1972년 출생 X세대 저소득층 노후 ‘캄캄’
근로 가구의 43%가 퇴직 후 심각한 재정난에 처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노동 한계 연령’에 접근중인 나이든 근로자들의 가슴을 한껏 시리게 만드는 이 불길한 예측은 ‘악마의 날’이라는 6일 보스턴 대학 퇴직연구센터(CRR)의 보고서 형식으로 발표됐다.
‘밥벌이 전사’들이 사라진 가구의 미래 재정상태를 미리 달아보는 ‘저울’로 보스턴 대학의 퇴직연구센터(CRR)는 자체 개발한 ‘은퇴 위험지수’(retirement risk index)를 사용했다.
이 지수를 활용한 CRR의 계산에 따르면 일손을 놓은 근로 가정의 생활수준은 퇴직 후 모든 수입원을 통해 들어오는 돈의 총액이 ‘현역 시절’ 소득의 73%이상이 되어야 그럭저럭 현상유지가 가능하다. 그러나 소득이 이 기준선에서 10% 이상 떨어지면 재정위기는 시간문제다.
예를 들어 가계소득이 연 10만 달러인 가정의 경우 퇴직 이후 저축과 투자이익, 소셜시큐리티 연금 등을 합친 총수입이 연 7만3,000달러 이상이면 큰 변동 없이 생활의 ‘격’을 유지할 수 있으나 조준선인 7만3,000달러에서 10%, 즉 7,300달러 이상의 차액이 발생하면 살림살이의 ‘틀’이 와장창 허물어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 은퇴위험지수의 기본이론이다. 기존수입의 73%를 ‘마지노 선’으로 잡은 이유는 각종 페이먼트가 줄어든다는 점을 고려했기 때문. 더 이상 자녀들 뒷바라지할 필요가 없고, 집 모기지도 대충 끝난 상태라 이 정도면 은퇴 전의 씀씀이를 그대로 이어갈 수 있다는 설명이다.
CRR은 은퇴위험지수를 대입해 조사한 결과 퇴직 후 가장 위험한 세대는 1965~1972년에 출생한 X세대 저소득 가구. CRR은 이들의 60%가 일손을 놓은 다음 재정적으로 심한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내다보았다. 맞벌이 X세대 부부와 X세대 독신여성의 53%와 52%의 노후 역시 ‘심봉사가 바라본 세상’처럼 캄캄하다.
‘56세에도 직장을 다니면 도둑’이라든지, ‘45세가 은퇴정년’이라는 한국발 ‘오륙도’와 ‘사오정’ 괴담으로 이미 가슴에 ‘멍’이 든 475와 386세대의 일부, 미국식으로 말하면 1955~1964년에 출생한 후기 베이비붐 세대에 속한 기존 저소득 가구 가운데 54%의 미래도 ‘허기진 가시밭길’이다.
노후 위기를 부채질하는 원인으로 CRR은 기대수명 연장, 퇴직연금과 사회보장혜택 감소, 제로에 수렴하는 저축률 등을 꼽았다.
그렇다면 이 기분 나쁜 ‘예언’을 피할 비책은 없는가.
어렵기는 해도 아주 없지는 않다. CRR의 앨리시아 문넬 소장은 “2년 더 일을 하거나 저축을 3% 이상 늘리는 것만으로도 퇴직 후 안전판을 크게 강화할 수 있다”고 귀띔했다.
그러나 문넬 소장의 ‘비결’은 현실성이 없는 ‘잠꼬대’라는 지적도 있다.
‘666-데이’의 경고를 전달한 CNN머니는 “일반적으로 근로자들의 퇴직연령이 65세로 잡혀 있고, CRR의 예측도 65세 정년을 예상해 작성한 것이지만 실제 퇴직 연령은 남성이 63세, 여성은 62세이고 이들 대부분이 자신의 의사와 상관없이 직장에서 밀려난다”며 “근로 의욕과 근로 기회는 별개의 문제”라고 꼬집었다.
또한 CRR의 위험지수는 지출의 상당부문을 차지하는 의료보험을 고려대상에서 제외했기 때문에 노후위기의 대상 범위는 보고서의 예상보다 훨씬 클 것이라는 게 CNN머니의 ‘달갑지 않은 해석’이다.
<이강규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