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 방송이나 신문에 보도되는 이라크 참전 용사들의 사망 소식이 전해질 때마다 그리고 그 영혼들의 부모를 직접 만날 때마다 눈물이 앞을 가린다. 왜 무엇을 위하여 그들은 목숨을 바쳐야 했는가? 이 질문은 나에게도 매일 반복되는 때가 있었다. 몬트레이와 페블비치의 아름답고 평화로운 전망을 앞에 두고 숙소로 돌아올 땐 외롭고, 불안했고, 그럴 때마다 한국인인 내가 왜 미국에 와서 이렇게 힘들어해야 하는 지 묻곤 했다.
간호학교를 졸업하고 간호원으로 규모가 큰 병원에서 근무하고 있을 때 육군 리쿠르터로부터 받은 한 통의 전화는 내가 군에 입대하게 된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싸이닝 보너스 $8,000에 혹해서 난 시험을 치루고 미군에 가입했고 한달 휴가, 병원비 무료, 군대 비행기 사용시 $10 요금, 세계 각지의 여행 기회 등등의 특혜를 들으면서 눈이 휘둥그래졌다. 엄마 곁을 떠나서 독립생활을 할 수 있고 월급봉투 전액을 갖다 바칠 필요 없는 곳, 그리고 연애도 할 수 있는 자유로운 생활을 누릴 수 있는 곳이었다. 하지만 늘 5-6 마일의 달리기를 해야 했고 매주 금요일은 8마일의 달리기를 해야 했다. 8마일을 끝낸 사람에게는 3일 휴일이 주어졌고 나는 한번도 빠짐없이 이 휴가를 챙기는 사백명 중에서 거의 유일한 여군이었다. 키가 작아서 오십파운드 짜리 배낭을 등에 멜 때는 거의 엉덩이 밑에까지 내려가서 등을 구부려야 했다. M-16을 사용할 때는 팔이 짧아서 두꺼운 양말과 수건을 싸서 팔꿈치에 단단히 묶고 총을 겨냥했다. 이런 가운데에도 난 살아있는 생명체임을 자각하면 생존경쟁에서 죽음은 면할 수 있다는 것을 늘 상기했다.
한국에선 군대에 가면 정신차리고 사람된다고 한다. 그렇지만 이것은 병역의 의무에 한숨짓는 힘없는 부모들의 넋두리이다. 미국군대는 자원 입대이다. 한국과는 달리 또 다른 경쟁이 시작되는 것이다. 삶의 현장은 전쟁터에도, 군대에서도 재현될 뿐이다.
김정희/산타클라라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