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포물에 씻어내고
요즘 들어 흰 머리가 부쩍 늘었다. 게다가 머리를 뒤로 묶고 다니다 보니 흰 머리가 그대로 들어나 보인다. 내 흰머리를 보면 자기의 나이를 새삼 깨닫게 되어 괴로우니 제발 자기를 위해서라도 염색을 해달라며 장난을 치는 동갑내기 친구가 있다. 그럴 때마다 나는 흰 머리가 이사 간 동네의 새 유행이라며 친구의 너스레를 받아쳐 버리곤 한다.
나는 어려서부터 나이든 사람을 좋아했다. 젊음이 주는 풋풋함 보다는 인생의 연륜이 쌓여서 삶의 지혜가 가득해 보이는 나이 지긋한 점잖은 사람을 좋아했던 것 같다. 그리고 그들의 흰 머리카락은 그 지혜가 변해서 만들어진 왕관처럼 느껴졌었다. 말수 적은 남편에게서 어느 날 흰 머리카락을 발견 했을 때 난 박수까지 치며 좋아했었다. 절대 뽑지 않기, 염색하지 않기...라며 철없이 구는 아내를 보면서 남편은 헛웃음을 쳤지만, 영리한 남편은 아직까지 머리에 염색을 한 적이 없다.
나 역시 처음 흰 머리카락을 발견했을 때는 그 제서야 어른이 된 듯한 기분도 들었다. 처음에는 긴 생머리 사이로 삐죽이 들어나 보이는 흰머리가 어색해 보여서 가끔씩 뽑아보기도 했지만 곧 내버려 두게 됐다. 가끔씩 만나는 친정 엄마는 내 흰 머리를 보면서 공연히 안쓰러워 하셨지만 난 전혀 개의치 않았다. 그런데 얼마 전 새로 사귄 교인 한명이 “최집사님...머리 염색 좀 하셔야겠네요. ” 라며 걱정스런 얼굴로 소근대듯 한마디 하셨다. 얼떨결에 장난 끼 섞인 목소리로 ‘그러게 말이예요’ 라며 간단히 대꾸 하고 넘겼는데 기분이 묘했다. 가슴 한구석이 불편했다. 그 기분이 오래 가진 않았지만 자꾸 생각나는 순간이다. 친구가 큰 목소리로 떠들어도, 친정엄마가 혀를 끌끌 차셔도 끄떡 않던 내 흰 머리가 순간 초라하게 느껴졌었다. 내가 아무리 지혜, 연륜, 왕관이라며 추켜세웠어도 흰 머리카락은 결국 염색으로 변장을 해야만 하는 존재였던가. 나 스스로 귀하게 여기고 흡족해 하던 것을 한 순간에 초라한 존재로 여긴 것이 마음을 무겁게 했다.
곧 단오절이 다가온다. 창포물에 머리감고 그 뿌리로 비녀를 삼아 머리를 단장하던 우리 옛 여인들이 생각난다. 나쁜 귀신을 쫓기 위해 그렇게 단오빔을 했던 그네들처럼 나도 올 단옷날에는 단장을 해야겠다. 귀 옆으로 내려앉은 흰 머리카락을 가지런히 빗어 넘기고 창포물에 씻어 내린 듯한 맑은 마음으로 그렇게 단오절을 보내고 싶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