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그러운 녹음이 햇살에 눈부시게 부서지는 센트럴 팍. 몸과 마음이 푸르름에 씻겨 내려가는 듯 하다. 어디선가 요정들의 웃음소리가 들려온다. 향긋한 꽃 향기에 발길이 이끌려 들어간 곳은 작은 정원. 물 위에 눕고 꽃과 나무 향기에 취해 있는 님프들이 행복하게 웃고 있다.
춤추고 노래하며 서로에게 장난치고 있는 아리따운 요정들. 서른 여섯 명의 님프들은 금방이라도 벽화 속에서 뛰어 나와 귓가에 속삭일 것만 같다. 내가 그리스 신화 속으로 들어 간 것일까, 님프들이 현실 세계에 놀러 온 것 일까. 나체의 님프들을 보고 있노라면 나마저 헐벗은 것 같아 연신 옷깃을 여미게 된다. ‘사랑스러운 님프들이여. 그대들의 보금자리 카페 데 아티스테스(Caf Des Artistes)에 들르러 왔어요’.그리스 신화 속을 걸어 들어가는 것 같다.
‘카페 데 아티스테스(Caf Des Artistes)’에서는 당신도 신화의 일부이다.1917년 문을 연 이 레스토랑은 일러스트레이터이자 자화상 그림 전문가로 유명했던 하워드 챈들러 크리스티(Howard Chandler Christy)의 님프 벽화로 유명하다. 1934년 첫 작품을 완성하기 시작한 벽화는 ‘앵무새 소녀, 그네 타는 소녀, 레옹 연못, 가을, 봄, 젊음의 샘’ 의 여섯 가지 주제로 이루어져 있다. 카페 데 아티스테스는 예술가들의 천국으로 여겨지던 곳이다. 그들이 목을 축이고 마음을 녹아 내며 머무르던 옹달샘 같은 장소였다.
제가 웃고 있는 듯 보이지만 웃는 게 아니에요…… 하늘을 나는 듯 유유히 춤을 추고 있는 님프들. 세상 걱정 없는 듯 보이는 이 요정들에게도 아픔이 있었다. 자세히 들여다보면 벽화의 중간 중간에 거울이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1960년대에 벽화의 권리를 두고 입주자와 건물주 사이에서 일어났던 분쟁의 흔적이다. 대부분의 벽화는 레스토랑에 남아 있지만 고정물이 아
니었던 벽화 몇 개를 입주자가 가져가고 그 자리를 거울이 대신하고 있단다.
온 몸이 찢겨지는 아픔, 친구를 잃어버린 슬픔- 세월이 남겨 놓은 상처를 묵묵히 감내해온 님프들은 성숙함마저 풍기고 있다.
이후 사람들의 뇌리에서 점차 잊혀져 갔던 카페 데 아티스테스를 헝가리 난민이자 홀로코스트 수용소의 생존자였던 조지 랑(George Lang)이 부활시켰다. 전직 바이얼리니스트였던 조지 랑은 1946년 뉴욕으로 건너와 1975년 이 레스토랑을 인수하였다. 30대에는 셰프이자 호텔의 연회담당 매니저로, 40-50대는 국제적인 레스토랑 컨설턴트로, 60대 이후부터는 카페 데 아티스테스의 경영인으로 살아가고 있다.
18개의 나라에 200여 개의 레스토랑을 오픈 시키며 ‘미식계의 지휘자’로 불린다. 조지 랑의 지휘 아래 춤추는 님프들의 사랑스러운 무도회. 그 신화 속의 맛있는 한 페이지를 방문해보는 것은 어떨까. 차승희(음식전문 기고가)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