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1 테러가 발생했던 2001년 9월11일 3명의 소방대원이 폐허의 잿더미에서 성조기를 세우고 있다. <자료사진>
공항안전·국토 안보예산 막대
미국내 테러음모 40여건 적발
9·11 테러 이후 미국은 지난 10년간 테러와의 전쟁과 국토 안전을 위해 모두 3조2,280억달러를 사용한 것으로 집계됐다.
시사주간지 뉴스위크는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 전쟁을 포함해 미국 내 공항보안 관련 비용과 국토안보부와 정보기관들이 테러와 관련해 사용한 비용 등을 모두 합친 결과, 이같이 파악됐다고 5일 밝혔다.
이에 따르면 미국은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 파키스탄 등에서 전쟁을 진행하면서 2조6,000억달러를 사용했다.
또 국토안보부와 연방 정보기관이 9.11테러 이후 각각 3,600억달러와 1,100억
달러의 예산을 사용했으며 9.11테러 이후 승인된 연방 비상사태 대비 관련 예산이 400억달러였다.
이와 함께 미국내 공항에 설치된 각종 안전장비 30억달러, 2002년 이후 비행기 티켓에 부과된 이른바 ‘9.11 보안 수수료’ 150억 달러, 9.11테러 이후 몸수색 등으로 인해 공항 승객들이 공항에서 허비한 시간 1,000억달러 등이 소요된 것으로 추정됐다.
뉴스위크는 “알카에다의 지도자였던 오사마 빈 라덴이 한때 미국이 파산할 것이라고 자랑스럽게 말한 적이 있다”며 “지난 10년간 사법당국과 정보당국은 수십 건의 테러공격을 막아냈다”고 전했다.
뉴스위크는 실제로 지난 10년간 미국에 대한 테러음모 40건 이상이 적발됐다고 전하고 이 중에는 ▲오하이오 쇼핑몰과 시어스타워 등 건물대상 테러 음모 22건 ▲뉴욕지하철과 JFK공항 등 교통수단 테러시도 10건 ▲조지 부시 전 대통령 등 요인암살 기도 3건 ▲알카에다 지원 음모 6건 등이 포함돼 있다고 전했다.
#달라진 미국사회·새로 밝혀진 진상 등
9ㆍ11 테러 10주년을 맞아 관련 신간과 개정판이 봇물 터지듯 쏟아지고 있다.컬럼비아대학 구술역사 연구소가 펴낸 ‘붕괴 이후’(After the Fall: New Yokers Remember September 11 and the Years that Followed)는 월드 트레이드 센터 붕괴 이후 뉴욕이 얼마나 변했는가를 실감나게 그리고 있다.
앤서니 서머스와 로빈 스완 드로잉이 지은 ‘제11일’(The Eleventh Day: The Full Story of 9/11 and Osama bin Laden)은 최근에 공개된 각종 자료와 인터뷰 그리고 10년간에 걸친 연구와 회고에 바탕한 다양한 시각에 기초해 사건에 대한 종합적인 기술을 시도한 책이다.
뉴욕 타임스 기자를 지낸 에이미 월든의 ‘굴복’(The Submission)은 그라운드 제로에 들어선 추모기념관 설계작품 선정위원회가 무슬림출신 미국인 건축가의 작품을 선정했다면 어떤 일이 발생했을 지를 상상하면서 그린 소설 작품.
또 2006년 문을 연 ‘월드 트레이드 센터(WTC) 방문객 센터’를 찾았던 전 세계 20여만명이 남긴 메시지를 담은 ‘세계가 말하는 9ㆍ11’(9/11: The World Speaks) 등 두 권의 책이 출간됐다.또 10주년을 맞아서 나온 책 중에는 테러와의 전쟁에 대한 이해에 중요한 역할을 했던 책의 개정판도 포함돼 있다.
진보 지식인 노엄 촘스키가 지은 ‘9-11’ 개정판이 대표적인 예. 이 책은 사건이 발생하게 된 근원적 뿌리를 추적하고, 미국 대외정책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시도한 것으로 평가받아왔다.
또 9ㆍ11테러 진상조사위원회가 2004년 발간해 베스트셀러가 됐던 ‘9/11 위원회 보고서’(The 9/11 Commission Report)도 개정판으로 새로 출간됐다. 이 책은 톰 킨 진상조사위원장의 후기 그리고 위원회가 권고했던 보완책이 어떻게 이행됐는지를 분석하는 내용을 추가했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