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롬니 대세론 불구 결정적 승리 못 얻어
▶ 득표율 배분방식 등 조기승부에 걸림돌
(오른쪽)미트 롬니 전 매서추세츠 주지사가 6일밤 매서추세츠에서 열린 승리 파티에서 연설하고 있다.
공화당 대통령 후보 경선이 6일 `수퍼화요일’ 프라이머리가 매듭되면서 경선의 1막이 내려지고 2막이 올라가게 됐다.
2008년 공화당 경선때는 그해 2월5일의 `슈퍼화요일’을 거치며 승부가 판가름났지만 이번에는 완전히 다른 양상의 레이스가 펼쳐지고 있다.
4년전 경선때는 21개주의 경선이 `슈퍼화요일’에 동시에 치러졌고 1,081명의 대의원 몫이 판가름났다. 사실상 존 매케인 상원의원이 후보로 가시화됐다.
전체에 거의 절반에 가까운 주가 참여했기 때문에 ‘준 전국 프라이머리’, `쓰나미 화요일’, ‘수퍼 듀퍼(duper.엄청나게 큰) 화요일’이라고 불렸다.
하지만 올해는 ‘수퍼화요일’을 거치고도 아직 공화당 대통령후보가 사실상 결정됐다고 말하기 힘든 상황이다.
물론 미트 롬니 전 매서추세츠 주지사가 심리적, 정치적 의미가 적지 않은 오하이오에서 승리함으로써 대세론에 탄력을 받았다. 하지만 릭 샌토럼 전 상원의원도 오하이오에서 간발의 차로 따라붙고, 테네시, 오클라호마, 노스다코타 등을 이기는 저력을 발휘해 `애프터’(after) 수퍼화요일 경선으로까지 승부를 연장시켰다.
게다가 이번에는 같은 날 동시 프라이머리에 참여한 주가 지난번보다 훨씬 적은 10개에 그쳤고, 판가름난 대의원 숫자도 437명이었다.
또 4년전엔 대의원 배분 방식이 모든 주에서 ‘승자 독식’이었지만, 이번에는 ‘득표율 배분’ 방식을 대다수 주에서 택했기 때문에 어느 한 후보에게로 조기에 대의원 숫자가 쏠리지 않은 것도 한 이유이다.
당시 ‘득표율 배분’ 방식이던 민주당이 `수퍼화요일’에 버락 오바마와 힐러리 클린턴이 대의원을 절반 가량씩 나눠가지면서 경선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계속 끌고 갔다는 평가에 따라 올해 경선에서 공화당은 대의원 배분 규정을 개정했다.
그러나 당초 규정 개정의 취지와 달리 경선이 장기화되고 네거티브 캠페인으로 당내 후보들끼리 서로 상처를 줄 뿐 아니라 막대한 선거자금을 내부싸움에 지출함에 따라 오히려 대선 본선 역량을 약화시킨다는 내부 비판도 일고 있다.
`수퍼화요일’이 끝난 현재 지난 1월3일 아이오와 코커스를 시발로 한 공화당 경선은 모두 21개주에서 마무리됐다.
뉴욕 타임스의 추산에 따르면 대의원 확보 숫자는 롬니가 415명, 샌토럼이 176명, 뉴트 깅리치 전 하원의장이 105명, 론 폴 하원의원이 47명이다.
선두인 롬니 조차도 후보 지명에 필요한 전당대회 전체 대의원의 과반인 1,144명까지 한참 모자란 수준이다.
수퍼화요일 이후 경선의 2막이 오르면 선거 양상은 달라질 전망이다.
지금까지는 해당 주에 배정된 대의원 숫자보다는 초반 레이스에서 주요 주에서 1위를 차지함으로써 당선 가능성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키고, 선거자금 모금의 동력을 살리는게 중요했다.
수퍼 화요일까지의 레이스에서는 `메시지’와 `머니(money)에 큰 의미가 있었다면, 앞으로 중반전으로 접어드는 경선 레이스는 대의원 숫자를 늘려가는 ‘수학’(math)을 염두에 둔 선거전이 될 것이라는게 대체적 분석이다.
특히 1위를 달리는 롬니측은 특정 주에서 다른 후보가 인기도에서 1위를 차지하더라도 득표율만큼의 대의원을 챙기면서 당선을 위한 1,144명 대의원 숫자를 차곡차곡 쌓아가는 전략을 추구할 것으로 보인다.
샌토럼은 ‘수퍼화요일’에 전략지였던 오하이오주를 빼앗겼지만 여전히 저력을 부각시킨 만큼 공화당내 반 롬니 진영의 대표주자로서 1대 1 대결구도를 부각시켜 맹추격전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
깅리치는 그나마 고향인 조지아에서 1위를 차지해 `생존’을 이어가게 됐고, 론 폴 하원의원은 경선 완주가 주목대상이다.
이번 경선은 무제한 정치자금 기부가 가능한 `슈퍼 정치행동위원회(PAC)’가 허용된 후 첫 선거라는 점에서 `돈 선거’의 영향력을 다시 한번 확인시키는 선거로 평가되고 있다.
또 첫 3개 경선무대였던 아이오와, 뉴햄프셔, 사우스 캐롤라이나의 1위 후보가 모두 달랐다는 것도 기록이다. 1980년 이후 처음이었던 사례로 일찍이 이번 경선전에서 장기 레이스가 예고됐다고 볼 수 있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