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춤을 추는 분이십니까?” 상한 내 엄지 발톱을 보고 의사가 물었다. 그 뚱딴지 같은 질문은 발톱 무좀이 의심스러워 온 나를 당황스럽게 했다. 내 표정을 보더니, 그 의사는 춤을 추는 분들 중에 균에 감염이 되어 발톱이 이렇게 상하는 경우가 있다고 설명을 해주었다. 물론 나는 춤을 전문적으로 추는 사람이 아니기에 당연히 아니라고 답을 했다. 그러나 그의 물음은 내 안에 묘한 흥분을 불러일으키며, 몇 해 전 한국을 방문했을 때 경험한 춤 쎄라피 (Dance Therapy) 수련을 떠올리게 했다.
전국에서 사십 여명의 남녀가 모여들었다. 그 중에 춤을 제대로 출 줄 아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대부분은 뻣뻣한 나무토막 같은 자기 몸으로 뭔가를 표현해 보고 싶어서 온 것이다. 흰바람이라는 별칭을 가진 인도자의 안내에 따라 우리는 3박 4일 동안 마음껏 우리 자신을 표현했다.
시간이 흐르면서 멋쩍기만 했던 초반의 분위기는 온데간데 사라지고 우리는 아름다운 춤의 세계로 빠져들어갔다. 마지막 날 저녁, 수련생 모두가 그룹별로 작품을 만들 기회가 주어졌다. 큰 가방에서 휘황찬란한 색색의 천이 쏟아졌고, 우리는 각자 좋아하는 색깔의 천을 골라 몸에 치장을 한 후 두세 개의 천을 손에 쥐고 신나게 음악에 몸을 맡겼다.
음악이 끝나간다는 신호가 주어지면, 한 사람이 무대 가운데로 와서 자기의 천을 깃발처럼 높이 쳐들고 나머지 수련생들은 그 주위로 하나둘씩 모여들어 천을 던지듯이 포개면서 모든 동작이 서서히 멈추도록 되어 있었다. 수련생들의 거친 숨소리가 여전히 들리는 가운데 음악이 그치고 우뢰와 같은 박수가 이어졌다. 그 날, 오렌지색과 보라색 천을 하늘 높이 쳐들고 중앙에 서 있던 나는 분명 춤 추는 사람이었다.
오늘 나는 오랫동안 벽장 뒤쪽에 놓여 있던 재즈 슈즈를 꺼내 본다. 한국에서 재즈 댄스를 배울 때, 몸치로서의 껍데기를 한 꺼풀 벗고 몸으로 나를 표현하는 기쁨과 자유를 맛보게 해준 신발이다. 그 신발이 내게 말을 건다. “다시 춤추고 싶지 않니?”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