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석 스님(사진)이 북가주에 왔다. 여래사에 머물고 있다. 급한 용무 때문에 한국에 나간 주지 광전 스님을 대신해 법회를 주재하고 있다. 광전 스님과 대석 스님은 청화 큰스님 제자들이다.
대석 스님이 과거 삼보사 주지로 있을 때 한인사찰 연합 송년법회 등 크고작은 북가주 불교마을 행사에서 솔선수범한 까닭에 가외로 여래사를 찾는 불자들이 꽤 있다 한다. 14일 일요법회에도 이윤우 법사 문수행 보살 부부 등 여럿이 함께했다. 스님은 오는 30일 다시 한국으로 돌아간다.
“...우리는 다음 생을 위해 대비해야 합니다. 연세가 드신 분들은 자세에 구애받지 말고 꾸준히 염불을 많이 하시길 권합니다. 그리고 젊었을 때 현실 때문에 포기했던 것이 있다면, 정말로 해보고 싶은 일이 있다면 지금도 늦지 않았습니다. 해보십시오. 자기가 지은 복과 자신이 노력해 개발한 재능은 사라지지 않습니다.”
대석 스님은 14일 법문을 이같은 시작한 뒤 복짓기의 중요성을 새삼 강조했다.
“또 복을 짓는 것도 중요합니다. 부처님이 심어놓은 복에 의해 나 같은 수행자도 잘 되고 있는 것입니다. 물질이든, 자원봉사든, 또 자비스런 마음을 내어 하루 두세 차례 ‘모든 존재들이 편안해지고 행복해지십시오’ 하고 우주법계에 축원해도 큰 복을 짓는 것입니다.”
스님은 나아가 부처님법을 만난 것이 얼마나 희유한 일인지 다시금 되새기며 온 힘을 다해 수행하기를 거듭 권했다.
“곰곰히 생각하면 모골이 송연한 말이 있습니다. 백천만겁난조우(百千萬劫難遭遇, 백천만겁이 지나도 쉽게 만날 수 있는 것이 아니다)로, 부처님 가르침을 만났기에 온 힘을 다해 가슴에 새기고 기약없는 윤회에서 벗어나시길 바라겠습니다.”
그리고는 새벽종송의 선시로 법문을 마무리했다.
“三界猶如汲井輪 (삼계유여급정륜, 삼계는 마치 우물의 두레박 같아서) 百千萬劫歷微塵 (백천만겁역미진, 백천만겁이 미진토록 지났도다) 此身不向今生度 (차신불향금생도, 이 몸을 금생에 제도하지 못하면) 更待何生度此身 (갱대하생도차신, 다시 어느 생에 제도할까나)”
<
정태수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