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텍스트·사진·동영상·통화 등 비공개로 전환토록 설정
▶ “메시지 주고받는 사람만 해독…누구도 내용 볼 수 없다”

메타 로고 [로이터=사진제공]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는 자사의 글로벌 채팅 및 음성 메시징 앱인 메신저(Messenger)를 완전 암호화된 서비스로 전환한다고 7일 밝혔다.
종단 간 암호화(end-to-end encryption)는 텍스트와 사진, 동영상, 전화 등을 비공개로 전환해 제3자가 접근할 수 없도록 하는 방식이다. 메시지를 보내고 받는 사람만 해독할 수 있고, 메타도 해독할 수 없다.
이는 메신저를 애플의 아이메시지(iMessage)와 메타의 왓츠앱(WhatsApp) 등 다른 메시지 앱과 더 유사하게 하기 위한 개편의 일환이라고 메타는 설명했다.
메타는 이미 왓츠앱에 암호화 서비스를 전면 도입해오고 있다. 메신저에는 2016년부터 선택 기능으로 서비스해오다 이제 이를 기본 설정으로 탑재했다.
로레다나 크리스안 메신저 부사장은 "엔드투엔드(end-to-end) 암호화 도입은 친구나 가족과의 메시지 및 통화 내용이 기기를 떠나는 순간부터 수신자 기기에 도달하는 순간까지 보호된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이는 메타를 포함한 누구도 무엇이 전송됐는지 볼 수 없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이 기능이 해커와 범죄자 등으로부터 사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메타는 2016년 미 대선 당시 영국 정치 컨설팅 기업 케임브리지 애널리티카가 페이스북 이용자 8천700만명의 데이터를 동의 없이 수집해 정치 광고 등에 사용한 사건 등이 드러나면서 큰 곤욕을 치렀다.
이에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는 전 플랫폼에 이 종단 간 암호화를 도입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종단 간 암호화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조치로 여겨져 왔지만, 강력한 암호화가 범죄자 추적을 어렵게 한다는 지적도 제기돼 왔다.
메신저는 전 세계 10억명 이상이 사용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이용자 수가 수백만 명에 달한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