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연말에서 연초동안 성탄 장식물을 집안마당이나 건물밖에 전시하고 화려한 라이트 장식을 하는 것이 오랜 풍습이다. 그런데 이러한 할러데이 장식이 너무 많으면 오히려 집값이 떨어지거나 이웃의 불평을 들을 수도 있다 한다. 부동산 전문가와 인테리어 디자이너들이 추천하는 적절한 할러데이 장식은 어떤 것일까?<편집자 주>
겨울 기간동안 집을 팔려고 계획하고 있는 주택소유주들은 가급적이면 크리스마스 장식을 삼가는 것이 좋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주택의 내·외부를 너무 화려하게 장식하면 다른 좋은 요건들을 간과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적당한 정도의 장식만 하라고 조언한다.
연중 주택 판매가 가장 저조한 할러데이 시즌에 주택을 판매하고자 하는 주택소유주들은 할러데이 시즌의 화려한 장식과 포근한 느낌을 주는 장작불, 빵굽는 냄새 등으로 주택의 결점을 덮으려 할 수 있다. 그러나 집을 멋져 보이게 하려고 할러데이 장식을 최대한 이용하는 것은 오히려 역효과를 낳을 수 있다. 따라서 집안에 있는 장식과 전구 등을 총동원해 집을 꾸미는 것보다 현관에 화환(Wreath)을 달거나 너무 크지 않은 크리스마스 트리를 장식하는 정도로 마무리하는 것이 좋다.
주택판매가 감소하기 시작하는 11, 12월 동안 집을 팔려는 주택소유주들은 보통 집안과 외관을 화려하게 꾸며 좋은 인상을 주려는 경우가 많다. 전국부동산중개인협회(NAR) 월트 몰로니 대변인에 따르면 11, 12월 동안의 주택 판매 클로징은 총 40만건에 못 미친다. 이는 봄기간 동안의 클로징 50만건, 주택판매가 가장 활발한 6, 7월의 60, 70만 건에 비하면 훨씬 낮은 수치이다.
그러나 이 기간 동안에는 자녀들의 학업에 신경 쓸 필요가 없고 할러데이가 있어 쉬는 날이 많은 점을 이용한 젊은 첫 주택 구매자들이 오픈 하우스를 찾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구매자들의 취향을 고려해야 한다. 처음 주택을 구매하려는 젊은 부부들은 크리스마스 장식을 오
히려 싫어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주택구매자들에게 좋은 첫인상을 남기기 위해 크리스마스 장식을 많이 하는 것보다 오히려 우아하고 깔끔한 느낌을 주도록 최소한의 장식만 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전국소매협회(NRF; National Retail Federation)에 따르면 각 가정마다 예산의 차이가 있겠지만 겨울동안 크리스마스 장식에 사용하는 평균비용이 35달러91센트이다. 주택을 판매하려고 계획하거나 그렇지 않더라도 보기 좋은 정도로만 할러데이 장식을 하는 것이 좋다.
다음은 부동산 전문가들과 인테리어 디자이너들이 추천하는 할러데이 장식이다.
▲전구장식(Lights)
할러데이 기간동안 주택 밖을 환하게 비춰 첫 인상을 결정하게 되는 전구장식은 설치가 복잡할뿐더러 전기가 많이 소요되기도 하기 때문에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 전구장식을 구입할때는 플러그가 같은 지에서부터 전력 소모량까지 꼼꼼히 챙겨야 한다.
▲화환(Wreath)
집앞 현관문에 매다는 화환은 집안의 첫인상을 결정할 뿐만 아니라 크기가 작고 비용이 많이 들지 않기 때문에 전문가들이 추천하는 장식 중 하나이다. 겨울에 맞게 사철나무를 사용하거나 겨울에 피는 꽃을 이용해 화환을 만들고 현관문에 달아보자. 특히 이번 크리스마스
와 연말 시즌에는 소나무와 활짝 핀 장미를 이용해 만든 화환이 인기 있다.
▲크리스마스 트리
크리스마스 트리는 각 가정마다 설치하지 않은 곳이 없을 정도로 인기 있다. 크리스마스 트리는 연말 할러데이 분위기를 북돋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집 내부의 크기에 맞는 적당한 사이즈의 트리를 고르는 것이 중요하다. 지나치게 큰 트리를 설치하면 오히려 집안 내부가 좁아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김휘경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