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중 한때 1,500P 급락…이틀새 26,000·25,000 모두 붕괴

[AP=연합뉴스]
미국 뉴욕증시가 5일 맥없이 주저앉았다.
탄탄한 경제 펀더멘탈을 확신한다는 백악관 측의 발언까지 전해졌지만, 투자심리는 되살아나지 않았다.
채권금리 발(發) 긴축 우려가 사흘째 증시를 압박했다. 일각에선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로 9년째 이어진 '강세장'이 마무리 국면에 접어든 것 아니냐는 분석도 고개를 들고 있다.
◇ 다우지수 장중 한때 1,500P 급락 '패닉' =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일보다 1,175.21포인트(4.60%) 내린 24,345.75에 거래를 마쳤다.
장중 한때 1,500포인트 안팎 수직 낙하하면서 24,000선이 깨지기도 했다.
지난 2일 하락 폭(665.75포인트)까지 더하면 2거래일 만에 1,700포인트를 반납하면서 26,000선과 25,000선을 차례로 내준 셈이다. 작년 말(24,719.22) 지수 밑으로 내려앉았다.
단기 흐름을 반영하는 50일 이동평균선도 밑돌았다. 단기적으로 조정 양상이 짙다는 뜻이다.
이날 뉴욕증시는 1% 안팎의 약보합세를 이어가다가 오후 3시 무렵 갑작스럽게 낙폭을 키웠다. 증시가 조정 국면에 들어서면서 갑작스럽게 투매 양상으로 흐른 것으로 보인다.
주가지수가 롤러코스터를 타면서 시장의 불안감은 증폭됐다.
'공포지수'로 불리는 변동성 지수(VIX)는 9.65포인트(55.75%) 오른 26.96을 나타내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변동성 지수가 20선 위로 치솟은 것은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된 지난 2016년 1월 이후로 처음"이라고 전했다.

[AP=연합뉴스]
◇ '9년째 황소장' 약세장 돌아서나 = 뉴욕증시가 일시적으로 조정 압박을 받고 있다는 데는 별다른 이견이 없는 분위기다.
통상 주가조정은 고점 대비 10~20% 하락을 의미한다. 하락 폭이 20%를 넘어서게 되면 약세장에 들어섰다는 신호로도 해석할 수 있다.
너무 급작스럽게 다우지수가 하락 압력을 받고 있지만, 아직까지만 놓고 보면 과열을 해소하는 조정 성격이 강하다는 뜻이다. 지난주 퇴임한 재닛 옐런 전 연준 의장도 주식과 업무용 부동산 가격이 높다는 입장을 밝혔다.
특히 프로그램(컴퓨터 시스템에 의한 매매) 매물이 나오면서 투자심리가 급격히 위축된 것으로 알려졌다.
헤지펀드 브릿지 워터의 레이 달리오 최고투자책임자(CIO)는 블로그에 "미세한 조정"이라며 "예상보다는 조금 빨리 조정 국면에 들어선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렇지만 시장의 심리가 급작스럽게 위축된 상황에서는 조정 국면이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도 나온다. 특히 인플레이션 상승압력과 맞물려 통화 당국의 긴축 스케줄이 속도를 내지 않겠느냐는 전망이 나오고 있어 주목된다.
유명 투자전략가 짐 폴슨은 CNBC와의 인터뷰에서 "주식가치가 고평가돼 있다"며 15%가량 조정 국면을 전망했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1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What goes up comes dow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