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가 처음이라 미안해,
임신에 관해 몰랐던 사실들
엄마가 처음인 임산부들,
모든 사람들이 처음은 다 서툰 것처럼
임신에 대한 오해가 많은데요.
카더라 통신은 그만!
임신에 대해 우리가 몰랐던 사실을 소개할게요~
1. 여자는 임신했을 때 2인분을 먹어야한다.
임신 중에 여성이 칼로리 섭취량을 약간 늘려야 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과식을 피해야 합니다.
과식은 특히 다이어트에 빈 칼로리 가 많은 경우 여성과 태아 모두에게 해로울 수 있습니다.
여성은 임신 기간 동안 점진적 으로 칼로리를 증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합니다.
첫 삼 분기 : 추가 칼로리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두 번째 삼 분기 : 전문가들은 하루에 340 칼로리를 추가로 권장합니다.
세 번째 삼 분기 : 하루에 450 칼로리 추가를 권장합니다.
여성은 일반적으로 규칙적인 식단을 유지하는 데 집중해야 하지만 영양소가 풍부한 음식을 섭취해야 합니다.
2. 임신을 하면 주근깨나 기미가 생긴다?
보통 임신 전부터 기미가 있었다면 이신 후에 짙어지는 경우가 많고 기미가 없다가 생기기도 한다.
이는 임신 중에 태반과 뇌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의 영향으로 멜라닌 색소가 활성화하기 때문인데,
임신 중 생긴 기미는 출산 후 보통 1년 정도가 지나면 거의 다 사라지는데, 그 중에는 임신 중 생긴 기미가 남아 있기도 하다.
때문에 임신으로 기미가 심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임신 중에 자외선 차단제를 잘 발라주는 것이 중요하다.
다시 말하지만 임신을 해서 주근깨가 생기는 것이 아니라 원래 있던 주근깨가 더 짙어진다고 보는 것이 맞다.
3. 임신 중에는 단팥죽을 먹으면 안 된다?
임신 중에 팥을 먹으면 아기에게 좋지 않다고 하여 단팥죽을 먹으면 안 된다는 말이 있다.
그러나 단팥죽을 먹는 것은 전혀 관계가 없기 때문에
먹고 싶은 것을 참을 필요는 없으니 먹는 걸로 스트레스 받지 않아도 된다.
4. 임신을 하면 머리카락이 빠진다?
임신을 하면 태아가 영양을 가져가기 때문에 머리카락이 빠진다고 하는데 이는 잘못된 속설이다.
임신 중에는 임신을 유지하는 호르몬의 영향으로 머리카락이 빠지는 양이
줄어서 오히려 머리 숱이 풍성해지는 경우는 있을 수 있다.
그런데 출산을 하면 이런 임신을 유지하던 호르몬이 사라지기 때문에
그 동안 빠지지 않던 머리카락이 한 번에 빠져 임신 중 보다 출산 후에 머리카락이 많이 빠지게 된다.
출산 후 머리카락이 많이 빠지는 시기는 출산 후 1~4달이며 보통 1년 안에 원래 상태로 돌아오게 된다.
5. 제왕절개수술로 출산하면 아이 머리가 나쁘다?
2012년 줄리아 사이먼 박사는 예일대학교 연구팀과 쥐 연구에서 제왕절개수술 시 UCP2 단백질 증가로
IQ가 낮아진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하지만 사람을 대상으로 한 2010년 이란의 연구나 2011년 중국의
연구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아직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
출처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19031800978
https://blog.naver.com/yeojooya/221735432025
도산 안창호 기념관 건립사업을 돕기 위한 특별한 전시회가 LA 한인타운에서 열린다. 베벌리와 웨스턴에 위치한 갤러리 웨스턴(관장 이정희)은 오…
경희대 북미주 연합동문회 골프대회 및 총회가 지난 13일 어바인 스트로베리팜 골프클럽에서 남가주와 샌디에고를 비롯한 미 전역 동문들과 모교 김…
남가주 새누리교회(담임목사 박성근)의 2025년 선교기금 마련 골프대회가 지난 8일 위티어 내로우스 골프장에서 열렸다. 총 75명이 참가한 이…
재미 남가주 이북5도민회 중앙회(회장 조명국)는 지난 8일 LA 용수산에서 본국 이북5도위원회(위원장 정경조 평안남도 도지사) 초청 2025년…
한인가정상담소(KFAM·소장 캐서린 염) 폭력 피해자 지원 부서는 오는 10월20일부터 31일까지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가정폭력 40시간 전문가…
‘2025 한국일보 오픈 겸 뉴욕한인골프협회 왕중왕 골프대회’가 지난 11일 뉴욕주 스프링밸리 소재 뉴욕 컨트리클럽에서 성황리에 열렸다. 한국…
재미이산가족 상봉추진위원회(DFUSA)는 15일 민주당 수하스 수브라마니암(Suhas Subramanyam) 연방 하원의원을 만나 연방 의회에…
꽁꽁 얼어붙었던 가족이민 영주권 문호가 모처럼 풀리면서 이민 대기자들의 숨통을 터줬다.가족이민 문호 모처럼 풀렸다국무부가 최근 발표한 2025…
![]() | ||
|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