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기정통부와 ‘인공지능위크 2023’ 개최
▶ AI 인재양성 및 연구개발 분야 협업 확대
글로벌 빅테크 구글이 한국 정부와 손을 맞잡았다. 한국 AI 분야 발전을 위한 인재 양성 및 연구 개발(R&D) 분야 협력 파트너 역할을 자처하면서다. 생성형 AI 챗봇 ‘바드’ 한국어 서비스를 선제적으로 내놓았던 구글이 한국 AI 시장 공략에 본격적으로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구글 “한국서 해마다 500명 AI 인재 양성”
구글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13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AI 위크’ 행사를 열었다. 김경훈 구글코리아 사장은 이날 기조연설에서 “한국의 AI 인재 파트너로 거듭나겠다”면서 과기정통부와의 협업 계획을 발표했다.
우선 국내 AI 연구 조직인 ‘인공지능 혁신 허브’와 구글 연구진이 최신 연구 성과를 함께 나누고 공동 연구도 추진한다. 또 구글이 우리나라에서 운영 중인 AI 인재 양성 목적의 ‘머신 러닝 부트 캠프’ 참가자 규모도 지난해 200명에서 올해 500명으로 두 배 이상 키울 예정이다.
‘미래의 먹거리’인 AI 전문인재 육성은 윤석열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초거대 AI로 치열해지고 있는 글로벌 인공지능 시장에서 우리나라가 주도권을 갖기 위해서는 국내 기업 독자적인 초거대 AI 모델 개발·확산 노력과 함께 구글 등 글로벌 기업과 협력을 통한 기술력 향상 및 해외 진출 노력도 중요하다”며 구글의 결정을 환영했다.
■한국과 점점 밀착하는 구글
구글은 2016년 이세돌과 바둑 대국을 펼친 ‘알파고’를 발표한 후 AI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5월엔 생성형 AI인 ‘챗GPT’에 대항하는 AI 챗봇 바드의 한국어 서비스도 내놓았다. 구글은 조만간 바드에서 이미지 정보를 이해하고 추가 답변을 생성하는 기능도 한국어로 선보일 예정이다.
구글이 한국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하는 것은 국내 빅테크 기업을 의식한 행보라는 분석도 있다. 구글의 전 세계 검색 시장 점유율은 90%대지만 한국에서는 네이버에 크게 밀린다. 그러나 AI 분야에서는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MS)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이 압도적 우위에 있다. 이 때문에 구글이 AI 시장 초기 독점을 위해 선제적으로 한국 시장에 진출하려 한다는 해석이다.
<
김지현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