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맬더스는 죽었다?’19세기 말 인류의 암울한 미래를 점쳤던 토머스 맬더스의 ‘인구론’을 유엔의 한 인구통계 책임자가 정면으로 반박했다.
유엔 인구국의 조지프 채미 국장은 최근 2300년에는 인간의 평균 기대수명이 100세에 이르고 인구도 정체상태에 머무는 안정된 세상이 될 것이라는연구결과를 내놓았다.
그는 중간중간 흔들리는 시기는 있겠지만 큰 궤적을 볼 때 “매우 좋다”며 “이제는 맬더스를 땅에 묻을 때가 됐다”는 지극히 낙관적인 전망을했다.
식량이 증가하는 속도보다 인구가 늘어나는 속도가 훨씬 빨라 인간은 굶주리게 되고 결국 투쟁과 파멸에 이르게 된다는 게 맬더스의 이론. 채미 국장은 그러나 300년 후의 인류는 인구증가보다 오히려 인구감소를 더 걱정해야 할 정도이기 때문에 자원을 둘러싼 인간사이의 쟁탈전은 일어나지 않는다고 단언했다.
그가 전망하는 2300년의 사회상은 한마디로 미래의 불안정한 요소가 휴지기에 접어드는 ‘가변요소 정지상태’이다. 이 시기에는 인구 폭발과 국경분쟁 등의 불안요소가 안정을 되찾아 지구촌은 더 살만한 곳으로 변한다는것이다.
그는 2100년 전세계 인구가 96억~97억 명으로 안정되고 에이즈가 퇴치될것이라는 가정하에 아프리카가 인구 23억으로 중국이나 인도를 제치고 최대 인구 밀집지역이 될 것으로 예측했다.유럽의 인구는 외부로부터 이주가 늘지 않는다는 것을 전제로 1.4%의 현출산율을 기준으로 하면 현재 1,000명의 인구가 100년 후에는 232명으로급격히 줄어든다.
50년 후 가장 급격한 인구변화가 일어나는 곳은 예멘과니제르로 지금의 2,000만, 1,200만 명에서 8,400만, 5,300만 명으로 각각급증할 것으로 전망했다.전세계 인구학자들은 30일 미국 뉴욕에서 채미 국장의 이 같은 전망의 근거와 연구 방법론에 대한 열띤 토론을 벌였다. 학자들이 놀라움을 표시하는 것은 “어떻게 무려 300년 후의 인구변화를 과학적으로 예측할 수 있느냐”에 모아졌다.
인구통계학의 자료는 향후 50년 후가 통상적이고, 현재까지 가장 멀리 예측한 것도 150년이 최대이기 때문이다. 기후변화, 농업생산력, 이민정책의준거자료로도 ‘50년 전망치’가 일반적이었다.
채미 국장은 “사망률 출산율 인구흐름 등 3가지 변수를 토대로 했다”며“우리는 인간이 동물과 다르다는 것을 역사로 통해 알고 있기 때문에 인간이 스스로 자원을 고갈시키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