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해외체류중인 유학생·여행객을 납치하였다며 국내 가족으로부터 금품을 갈취하는 보이스피싱 범죄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이에대한 주의가 요망된다. 주호놀룰루 총영사관은 보도자료를 통해 주요 피해 사례와 대처 요령등을 다음과 같이 알려왔다.
□ 주요 피해사례
1. 유학생을 둔 부모대상
사례 1) 07.8 경남 창원에 거주하는 김OO氏는 미상의 남성으로부터 미국 동부지역 某대학에서 연수중인 아들이 범죄조직원에게 납치돼 인질로 잡혀 있다는 공갈전화를 받고 석방금 명목으로 국내 ○○은행 지정계좌에 300만원 입금 사례 2) 08.3 프랑스에 유학중인 자녀를 둔 정OO氏는 “아들을 납치했으니 1천만원을 입금하라”며 협박했으나, 가족들이 “아들과 직접 통화했는데, 당신 누구냐?” 라고 되묻는 등 침착히 대처, 범죄자가 바로 전화를 끊음
2. 가족중의 일부가 해외여행중인 가정대상
사례 1) 08.1 김OO氏는 한국어를 사용하는 정체불명의 사람이 이집트 여행중인 아들을 납치ㆍ감금중이라고 하면서 몸값으로 2,000만원을 요구하는 전화를 받고 즉시 국내 ○○은행 계좌로 송금하였으나 나중에 전화사기인 것으로 판명 사례 2) 08.3 전화사기범들이 김OO氏에게 전화를 걸어 인도로 여행중인 아들을 납치했다며 ‘신음소리’를 들려준후 금전을 요구하였으나, 협박자들이 중국동포 말투를 사용하면서 아들과의 통화요구를 거절하고 여행에 동행한 친구에 대해서도 모르는 등 의심이 가자 송금을 미루고 당국에 신고
□ 신종 보이스피싱 수법의 특징
o 최근 발생하고 있는 보이스피싱(전화사기)은 발신번호를 해외 현지로 교묘히 위장, 유학생 자녀나 해외여행중인 가족이 납치되었다며 돈을 요구하는 점이 특징 * 실제 이집트 여행객 사건(08.1 김○○氏 피해사례)의 경우 발신번호가 이집트로 되어 있으나 경찰 조사결과 발신지역이 국내로 밝혀짐 o 이들은 납치를 가장,‘신음소리’를 들려주거나 해외에서 사고가 나 합의금이 필요하다며 지정된 계좌로 거액을 입금할 것을 종용하면서 자녀와 멀리 떨어져 있는 부모의 불안감을 악용
o 이들이 ‘어눌한 한국말’ㆍ‘조선족 말투’를 사용한다는 피해자들의 진술로 미루어 중국ㆍ대만에 거점을 둔 전형적인 전화사기 조직에 의한 소행으로 추정
□ 피해예방 및 대처요령
① 유학 또는 여행중인 자녀를 납치했다는 협박전화가 오면 반드시 자녀와 통화를 시도해 납치여부를 확인 ② 사기조직들이 자녀의 목소리라며 신음소리를 들려주더라도 당황하지 말고 납치되었다는 자녀와의 직접통화를 요구하는 등 침착하게 대응 ③ 유학생 자녀와의 연락이 용이하지 않을 경우에 대비 평소 현지에 체류중인 자녀친구들의 연락처를 파악, 자녀의 위치나 안전여부를 확인 ④ 해외 배낭여행객의 경우 휴대전화 로밍ㆍ이메일 등을 통해 한국가족과의 비상연락망을 유지토록 하여 유사시에 대비 ⑤ 전화사기로 의심되는 경우 현지 공관(595-6109)로 문의·바람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