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활인의 신앙
▶ 김 재 동 <가톨릭 종신부제>
인간이 자연을 등지면, 자연도 인간을 멀리 떠나는 것일까? 요즘은 어디를 가도 밤하늘의 별들을 보기가 힘들다.
모처럼 가족들과 함께 새로운 한해 첫 시작을 빅베어 산장에 놀러가서 아름다운 설경 속에서 주말을 보내고 왔다. 꽁꽁 얼어붙은 호수의 주변 나무숲들이 흰 눈 속에 잠겨 평화롭던 어린 시절의 겨울정취를 자아냈다. 소복이 쌓여 있는 푸른 소나무 가지에서 흩날리는 눈 꽃 사이로 뚫려 있는 길들을 따라 오랜만에 맑고 청정한 정초의 겨울을 맛보고 왔다.
그런데 한 가지 아쉬운 것은 높고 맑은 그 곳 빅베어 산장에서도 어릴 적 보았던 무수한 별들의 황홀한 속삭임의 잔치는 더 이상 벌어지지 않았다. 달은 여전히 어렸을 때 보았던 달이건만, 고요한 밤하늘만은 예전과 딴판이었다.
아무리 눈을 비비고 찾아봐도 북두칠성을 비롯한 몇 백개 정도의 별들뿐이었다. 그나마도 힘들고 지친 듯 희미하게 맥이 없다. 어렸을 적 볼 수 있었던 밤하늘에 가득 뿌려진 은가루 같은 영롱하게 반짝거리던 별빛의 찬란함이 아니었다.
하긴 인간 세상이 메말라가니, 머리 위 하늘 속 별들이라고 무슨 신바람이 나겠는가! 그래서들 틉틉한 먹구름 속으로 모두들 숨어버린 모양이다. 정말 그 찬란한 별들을 죽기 전에 꼭 다시 한 번 볼 수 있다면 얼마나 행복할까? 이런 현상은 비단 밤하늘만의 일은 아니다. 여름 한철 고기 잡고 멱 감던 시냇물도 마찬가지다. 그 당시 물이 흐르는 곳이면 어느 곳에나 생명체들이 지천으로 깔려 있었다. 멀리 갈 필요도 없이 집근처 조그만 개천가만 나가도 수많은 송사리 피리 떼들이 들끓었고, 눈쟁이, 올챙이, 물방개들이 어린 동심과 함께했다.
너 댓살 어린애들마저 꼬막손으로 돌 틈 사이에서 새끼 가제들을 잡을 수 있었고, 신고 있던 고무신으로 시냇물을 담아 피리새끼들을 잡아다가 집안에 버려진 빈 유리병에 키우다보면 어느덧 하루가 지나가 버렸다. 큰애들은 아예 키 정도 물이 흐르는 큰 시냇가나 들녘 강변에 나가 온 종일 멱을 감고 고기를 잡기도 한다. 바위만 들추어도 메기, 뱀장어, 꺽지가 잡히고 잉어 가물치들이 작살과 그물로 잡히던 그 시절엔 TV나 게임머신이 없어도 하루 종일 외로울 일이 없었다. “자연” 그 자체가 신 바람나는 놀이터였기 때문이다.
알고 보면, 정말 “자연”은 언제나 인간과 놀아주고, 맛있는 영양분까지 주면서 우리와 함께 살아왔다. 그렇기에 자연을 사랑해야 인간이 살 수 있게 된다. 그런데도 요즈음 세상은 머리통만 커져서 자연 없이도 잘 살 수 있을 것 같은 착각으로 산다. 현대는 인지가 개발되고 산업이 발전하여 옛날 사람들이 누리지 못한 풍요로움 속에서 사는 것이 사실이다.
자동차, 비행기, TV, 컴퓨터, 인터넷 등 인간에게 온갖 편리함을 무한정 제공해 주는 살맛나는 세상이다. 하루 종일 사무실 컴퓨터 앞에서 사람과 자연을 등지고도 불편 없이 살 수 있는 요술세상이다.
그런데도 이상하게 그같은 풍요로움 속에 살면서도 현대인은 예전보다 더욱 큰 불안과 고독을 안고 살아간다. 몇년 전 언젠가 고대 총장을 지내신 분이 인터뷰에서 말씀하시길 옛날 원시 시대 땐 “배가 고파서 못 살겠다”고 하던 인간이 산업화 시대가 되니 “힘들어서 못 살겠다”고 아우성 쳤습니다. 그런 인간이 이제 컴퓨터 인터넷을 통한 21세기 정보화시대가 되니 “외로워서 못 살겠다”며 다시 자연 속으로 돌아가자고 떠드는 겁니다. 정말 일리 있는 말씀이다. “자연으로 돌아가라”는 철학자 루소의 권고가 아니더라도, 언제 여름이 가고 겨울이 오는지 조차 관심없이 사는 현대인의 삭막한 삶 안에는 그래서 풍요로운 삶과는 달리 사는 것이 메말라 가는 걸까? 자연과 이웃에 눈길을 주고 사는 따뜻한 세상이 그래서 그립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