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탄산음료보다 물 마시고, 과식하기 쉬운 뷔페 피하고
▶ 음식 주문 때 반은 포장
■ 외식 건강하게 먹는 팁 10가지
집밥이 아닌 밖에서 외식을 하게 되면 아무래도 칼로리 섭취도 늘게 되고, 달고 짠 음식, 기름진 음식들을 많이 먹게 된다. 그렇다고 매번 집에서만 먹을 수도 없는 노릇. 밖에서 먹더라도 조금은 건강을 고려해서 현명하게 해보는 것은 어떨까. 점심은 많이 먹었다면 저녁은 가볍게 먹고, 저녁에 많이 먹을 것을 예상한다면 점심은 가볍게 먹도록 한다. 미 연방농무부(USDA)에서 운영하는 영양섭취 가이드라인 ‘추즈마이플레이트’(ChooseMyPlate.gov)에서 제시하는 외식할 때의 건강 팁 10가지를 소개한다.
▲제일 먼저 하는 음료 선택은 달지 않은 음료로 = 물이나 달지 않은 무가당 차, 저지방 우유, 무가당 음료를 선택한다. 술을 마시게 되면 첨가당이 낮은 것을 고르고, 음료에 들어있는 알코올 함량에도 주의한다. 다양한 커피 음료는 포화지방과 설탕 함량이 높다는 것도 기억하자.
식전에 물을 마시면 공복감도 채울 수 있고, 칼로리는 제로다.
▲샐러드의 맛을 즐겨보자 = 샐러드로 시작하면 채소로 먼저 배를 채울 수 있다. 샐러드 드레싱은 뿌리지 말고 따로 달라고 해서 조금씩 뿌려 먹는다.
▲음식을 나눠 먹는다 = 한인들은 대개 음식을 주문하면 서로 나눠 먹는 일이 많다. 주문한 음식을 나눠 먹거나, 아니면 먹는 양 조절을 위해 주문한 음식이 나오기 전에 서버에게 부탁해서 반은 포장하도록 요청해둔다.
▲메인 요리보다는 사이드 디시를 주문한다 = 일반 메뉴 대신 사이드 디시 또는 애피타이저 사이즈로 음식을 주문한다. 사이드 디시나 애피타이저는 대개 일반 메뉴보다 양도 적고 더 작은 접시에 나온다.
▲장거리 자동차 여행이나 장거리 통근을 할 때는 운전 중에 먹을 수 있는 스낵을 준비해 가져간다 = 과일이나 먹기 좋게 자른 채소, 저지방 스트링 치즈, 소금이 첨가되지 않은 견과류 등 간식거리를 운전하고 가면서 먹을 수 있게 준비한다. 바로 먹을 수 있는 간식을 준비하면 패스트푸드나 도넛샵 같은 곳에 들를 필요가 없다.
▲접시는 채소와 과일로 채운다 = 야채볶음, 케밥, 채식 메뉴에는 채소가 더 들어있다. 과일은 사이드 디시나 디저트로 고른다.
▲칼로리, 지방, 소금 섭취를 비교한다 = 메뉴를 잘 살펴보면 영양 정보와 칼로리 정보가 적혀있다. 메뉴에 적혀 있지 않으면 서버에게 문의한다. 패스트푸드점에 가면 영양 분석표를 달라고 하면 구할 수 있다. 칼로리가 적고 포화지방, 염분이 적은 음식을 고른다.
▲뷔페는 패스한다 = 한 가지 음식을 주문해서 먹는 것이 낫다. 올-유-캔-잇(all-you-can-eat) 뷔페는 피하는 것이 좋다. 아무래도 열량이 높고 과식하기 쉽다. 메뉴에서 음식을 고를 때는 찌거나 그릴이나 브로일로 구운 음식이 기름에 튀긴 음식 또는 버터에 조리한 음식보다 칼로리가 낮다.
▲통곡물을 고른다 = 샌드위치나 햄버거 빵을 선택할 때 통곡물로 만든 빵, 파스타를 선택한다.
▲음식, 남겨도 된다 = 음식을 너무 깨끗하게 비울 필요가 없다. 남은 음식은 집에 싸 가져와도 된다. 외식하고 남은 음식을 가져와서는 2시간 안에 냉장고에 넣어 보관하고 3~4일 안에 먹는다.
<
정이온 객원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1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머리기사 7개 단어에 영어가 4개. 세종대왕 우신다. 한글에 없는 단어도 아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