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DC에서 조언하는 소금 줄이는 팁
▶ 야채 주스 1컵에 615㎎, 치킨누들 캔 수프 831㎎

마켓에서 식품을 고를 때 꼭 식품 라벨을 체크한다. 나트륨(sodium)으로 적힌 성분은 꼭 확인한다.

외식이나 가공음식보다는 집에서 직접 요리해서 먹으면 소금 섭취를 줄이는데 도움된다.
■마켓에서 장을 볼 때
-식품 라벨을 꼭 체크해서 나트륨 함량이 적은 것으로 선택한다. 식빵만 하더라도 식빵 한장당 나트륨 양이 80~230㎎으로 다양한 빵들이 시중에 나와 있다.
-가능하면 ‘저염분’(low sodium)이나 ‘소금 무첨가’(no salt added) 제품을 고른다.
-소금이나 소스가 추가되지 않은 신선한 생과일이나 채소를 고르고, 냉동식품이나 통조림 역시 염분 함량을 체크한다.
-조리된 음식을 구입할 때는 나트륨이 600㎎ 미만인지 확인한다.
-저염분 제품에 대해 마켓에 문의한다.
■집에서
-요리할 때 소금대신 마늘, 양파 가루, 레몬주스, 또는 소금이 들어있지 않은 시즈닝, 허브 등을 사용한다.
-쌀, 파스타, 콩류, 육류 등은 가장 기본적인 형태(건조하고 신선한 상태)를 준비한다. 시간이 없다면 콩은 미리 전날 밤 불려놓거나, 바로 조리할 수 있게 준비해둔다.
-바로 먹을 수 있는 건강한 음식과 간식을 준비한다. 미리 잘라놓거나, 양을 소분해서 준비하거나, 드레싱이나 소스를 미리 만들어둔다.
-자녀에게는 염분이 적은 형태의 음식을 건강하게 선택할 수 있게 지도한다. 과일을 얼려서 먹이거나, 소금이 많이 들어있는 감자튀김 대신 저지방 요거트에 채소를 찍어 먹게 하거나, 견과류나 말린 과일은 소금이 적은 것으로 선택한다.
■외식할 때
-음식을 주문하기 전 영양 정보를 확인하고 저염분 메뉴를 고른다.
-음식을 주문할 때 추가로 소금을 넣지 말아달라고 당부한다.
-자녀와 메인 요리 한가지를 나눠 먹으면 소금 섭취량을 다소 줄일 수 있다. 수퍼 사이즈나 빅 메뉴는 선택하지 않는다.
-치즈, 케첩 등 소금 섭취량을 올리는 토핑은 더 추가하지 않는다.
-햄버거, 프라이드치킨, 피자 등 투고음식이나 패스트푸드는 되도록 가끔 먹도록 한다.
■ 나트륨 함량 많은 음식은
-냉동식품: 5온스 터키 디너에는 약 1,255㎎의 나트륨이 들어 있다. 되도록 냉동식품 섭취는 줄이고, 소금 함량이 적은 것으로 고른다.
-시리얼: 브랜드에 따라 다르지만 레이즌 브랜 시리얼 1컵당 210㎎이 들어 있다. 튀긴 쌀 시리얼에는 소금이 들어있지 않다. 시리얼을 섞어 먹거나 저염분 제품을 고른다.
-야채 주스: 주스 1컵 당 615㎎이 들어있다.
-야채 통조림: 소스나 시즈닝, 통조림 국물에 추가로 소금이 들어있다. 통조림에서 꺼낼 때 한번 씻어 먹거나 저염분 제품을 고른다.
-가공육: 소고기나 닭고기로 만든 살라미 2슬라이스에 362㎎ 정도 나트륨이 들어있다.
-수프: 치킨 누들 캔 수프에는 831㎎의 나트륨이 들어있다.
-소스류: 1테이블스푼의 테리야끼 소스에는 약 879㎎의 나트륨이, 간장은 1테이블스푼에 1,005㎎. 또한 케첩 1테이블스푼 당 154㎎, 스윗 렐리쉬 1테이블스푼 당 122㎎, 케이퍼 1테이블 스푼당 202㎎.
-스파게티 소스: 스파게티 소스 반컵 당 577㎎.
-견과류: 땅콩 1온스에 약 116㎎.
-간식류: 감자칩 1온스에 136㎎, 치즈 퍼프 1온스에 263㎎, 프레츨 1온스에 352㎎. 식품 라벨에서 서빙당 소금 함량을 꼭 체크한다. [WebMD 정리]
-한국사람이 자주 먹는 외식 메뉴의 나트륨 함량(1회 제공량 기준): 김치찌개 1,962㎎, 된장찌개 2,021㎎, 갈비탕 1,717㎎, 라면 1,700~1,960㎎, 짬뽕 4,000㎎, 중식 우동 3,396㎎, 해물 칼국수 2,671㎎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