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 정부 미래, 주민이 결정해야…가자병원의 총격전 보고싶지 않아”
▶ “美 中 정상회담에서 군 당국간 소통 채널 복원이 톱 어젠다 아이템”
![[이·팔 전쟁] 美, 이스라엘의 재점령 불가 등 ‘가자 4원칙’ 공식화 [이·팔 전쟁] 美, 이스라엘의 재점령 불가 등 ‘가자 4원칙’ 공식화](http://image.koreatimes.com/article/2023/11/12/20231112130757651.JPG)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로이터=사진제공]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12일 이스라엘의 재점령 불가를 골자로 하는 가자지구 관련 4가지 원칙을 강조했다.
'하마스 축출 이후' 가자지구의 미래 구상을 둘러싸고 미국과 이스라엘의 이견이 노출된 가운데, 미국은 이스라엘이 넘어서는 안 될 '한계선'을 분명히 하는 형국이다.
설리번 보좌관은 이날 방영된 미국 CBS '페이스더네이션'(Face the Nation)과의 인터뷰에서 팔레스타인의 미래상과 관련한 미 정부의 기본 원칙은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재점령 불가 ▲팔레스타인인의 강제 이주(가자지구 주민의 가자지구 외부로의 이주 등) 불가 ▲미래 테러 세력의 근거지로 가자지구 활용 불가 ▲가자의 '영역(territory) 축소' 불가 등이라고 소개했다.
설리번 보좌관은 "궁극적으로 우리는 서안지구(요르단강 서안)와 가자가 팔레스타인인의 리더십 하에서 다시 연결되고 통일되는 것을 보길 원한다"며 "지금은 팔레스타인자치정부(PA)가 서안지구를 통치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가자지구를 통치하고 있는 하마스가 이스라엘군에 의해 축출되면 PA가 서안지구와 가자지구를 모두 통치하는 것이 팔레스타인의 미래 모습이 될 수 있다는 취지였다.
이어 설리번 보좌관은 "하지만 궁극적으로 미래에 누가 그들을 통치할지 등 미래를 결정하는 것은 팔레스타인 주민들에게 달린 것"이라며 "미국은 그 과정을 지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스라엘이 가자지구를 통치중인 하마스를 축출한 뒤 현지 안보를 책임지겠다는 입장을 밝힌 뒤 나온 설리번 보좌관의 이 같은 원칙 표명은 이스라엘의 가자 재점령에 반대하는 미국 입장을 재확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존 커비 백악관 NSC 전략소통조정관도 MSNBC 인터뷰에서 "우리가 지지하는 것은 팔레스타인인들의 목소리와 투표, 자결권을 포함하는 일종의 장기적 거버넌스(통치체제)"라고 말했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지난 6일 "가자지구의 전반적 안보를 무기한 책임질 것"이라고 말했고, 11일에는 "어떤 경우라도 우리는 그곳의 안보 통제권을 포기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결국 미국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각각 독립 주권 국가로 공존하는 '2국가 해법'에 대한 지지 기조와 함께, 이스라엘이 하마스를 축출한 이후 그것을 넘어서는 가자지구의 추가 '현상변경'에 나서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분명히 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 설리번 보좌관은 이날 "(하마스가 이스라엘을 기습공격하기 하루 전인) 10월 6일 이전의 상황으로 돌아갈 수는 없다"면서 "하마스가 이스라엘에 계속 위협이 되도록 할 수는 없다"고 강조함으로써 이스라엘의 하마스 축출 목표에 대한 지지를 재확인했다.
미국은 또 가자지구의 민간인 희생 최소화 필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설리번 보좌관은 가자지구 병원들에서 총격전이 벌어져 무고한 민간인들과,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들이 포화에 말려드는 상황을 미국은 보고 싶어하지 않는다면서 "우리는 이스라엘군과 이에 대해 활발한 대화를 해왔다"고 말했다.
이는 민간인 희생을 급증시킬 수 있는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시가전에 대한 신중론을 피력한 것으로 풀이된다.
개전 이후 이스라엘의 대하마스 반격 권리 지지를 제1원칙으로 삼아온 미국은 최근 이스라엘의 고강도 공습 및 지상 작전으로 가자지구 민간인 희생이 심각해지자 민간인 피해 최소화를 점점 더 강조하고 있다.
앞서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은 지난 10일 뉴델리에서의 기자회견에서 "너무 많은 팔레스타인인이 죽고 고통받았다"며 민간인 피해 최소화를 위한 이스라엘의 노력을 촉구한 바 있다.
설리번 보좌관은 또 중재자로 나선 카타르와 이스라엘 사이에 진행되고 있는 인질(하마스에 의해 끌려가 가자지구에 억류된 인질) 석방 협상에 미국도 관여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아울러 설리번 보좌관은 오는 15일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리는 미중정상회담에 나설 조 바이든 대통령이 중국과의 군당국간 소통 채널 복원에 의지를 갖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CNN과의 인터뷰에서 군 당국간 소통 채널 복원이 이번 미중정상회담의 "1순위 의제 항목(Top agenda item)"이라고 밝혔다.
또 이란 핵프로그램과 그 위협이 미중정상회담 의제가 될 것이라고 설리번 보좌관은 밝혔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