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 자세가 뇌 건강과 치매 예방을 좌우할 수 있다는 전문가 의견이 나왔다.
10일(현지시간) 영국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러시아에서 뇌 건강 보조제 회사를 운영하는 전문가 레프 폼첸코프는 "옆으로 자는 습관이 기억력 감퇴와 알츠하이머성 치매 위험을 줄이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왼쪽, 오른쪽 어느 쪽이든 상관없지만, 등을 대고 똑바로 눕거나 엎드려 자는 습관은 뇌 건강에 치명적"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이 주목하는 건 '글림프계(glymphatic system)'라는 뇌의 청소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뇌척수액이라는 맑은 액체를 이용해 뇌 조직에 쌓이는 노폐물을 씻어낸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과 타우 단백질인데 이들이 뇌 세포에 비정상적으로 쌓이면 결국 치매를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문제는 이 청소 작용이 수면 중에 가장 활발하게 일어난다는 점이다. 폼첸코프는 "옆으로 잘 때 중력의 도움을 받아 뇌척수액이 원활히 흐르면서 유해 단백질이 잘 배출된다"며 "반대로 등을 대고 똑바로 누우면 뇌 특정 부위가 눌리면서 순환이 방해받는다"고 설명했다. 엎드려 자는 자세도 척추를 틀어지게 하고 호흡을 제한해 청소 효과를 떨어뜨린다고 덧붙였다.
폼첸코프는 뇌 속 노폐물이 쌓이는 과정을 집안 쓰레기에 비유했다. 그는 "매일 쓰레기를 버리지 않고 방치한다고 생각해 보라. 며칠, 몇 주만 지나도 집이 감당할 수 없을 만큼 더러워진다. 뇌도 마찬가지다. 수년간, 수십 년간 청소되지 않은 단백질은 결국 뇌 세포를 손상시키고 기억력을 잃게 만든다"고 말했다.
실제로 연구에 따르면 뇌세포 사이 공간은 잠을 잘 때 약 60% 더 넓어진다. 이때 뇌척수액이 활발히 움직이며 노폐물을 씻어내는데 옆으로 잘 경우 이 효과가 극대화된다. 반대로 등을 대거나 엎드리면 이 순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전문가들은 옆으로 자는 습관이 낯선 사람들에게 몇 가지 팁도 전했다. 무릎 사이에 작은 베개를 끼우면 골반과 척추 정렬이 유지돼 한쪽으로 눕는 것이 훨씬 편안해진다. 또 등 뒤에 쿠션을 두면 무의식적으로 다시 등을 대고 눕는 습관을 막을 수 있다.
뇌 건강뿐만 아니라 다른 신체 기능에도 수면 자세는 큰 차이를 만든다. 미국 메이요클리닉 클리닉은 "옆으로 자는 자세가 척추 부담을 줄이고 혈류를 원활하게 만들어 관절 통증 예방에도 좋다"며 "위장을 압박하지 않아 소화에도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반면 등을 대고 자는 습관은 수면무호흡증 환자에게 특히 치명적이다. 혀와 턱이 뒤로 떨어지면서 기도를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메이요클리닉의 로이스 크란 박사는 "똑바로 눕는 건 목 통증을 악화시키고 수면무호흡을 심하게 만들어 뇌와 심장 모두에 나쁜 영향을 준다"고 지적했다.
한편, 엎드려 자는 자세는 가장 해로운 자세로 꼽혔다. 호흡이 원활하지 않을 뿐 아니라 척추가 휘어지면서 목과 허리에 만성 통증을 일으킬 수 있다.
<서울경제>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