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시코만 기름유출 사태가 18일로 60일째를 맞았다. 미국 사상 최악의 환경재앙으로 평가되는 이번 사고는 정치·경제적으로도 많은 파장을 낳고 있다.
특히 사고 발생 후 두 달이 넘도록 기름 유출원을 차단하지 못해 완전차단은 감압유정(relief well) 굴착작업이 완료되는 8월 초까지 기다려야 할 것으로 보여 11월 중간선거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는 등 후유증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방제 총력불구 피해 눈덩이… 최악 환경재앙으로
허리케인 오면 더 확산 ‘오바마의 카트리나’조짐
▲사고경위와 원유유출량
남부 루이지애나주 베니스에서 남동쪽으로 80여㎞ 떨어진 멕시코만 해상에서 작업 중이던 석유 시추시설 ‘디프 워터 호라이즌’에서 지난 4월20일 밤 10시 폭발과 함께 화재가 발생했다.
사고가 난 유정은 영국 석유 메이저 BP가 스위스의 해양굴착업체인 ‘트랜스오션’(Transocean) 소유의 ‘디프 워터 호라이즌’ 시추시설을 임대해 시추를 하던 곳. 이 사고는 유정에서 갑자기 발생하는 이상 압력으로 인한 폭발을 막는 장치인 ‘폭발방지기’(BOP)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현장에서 작업 중이던 근로자 11명이 실종돼 사망했다.
사고 발생 이틀 뒤인 4월22일 시추시설이 해저로 침몰하면서 시추시설과 유정을 연결하는 해저의 대형 철제 파이프(drilling riser)에 3개의 구멍이 생기면서 원유가 계속 유출되고 있다.
원유유출량은 사고 발생 초기에는 하루 1,000배럴(4만2,000갤런)이었으나 시간이 갈수록 계속 늘어나고 있다. 연방정부 조사단과 연구진은 15일 원유유출량이 하루 3만5,000~6만배럴(150만~250만갤런)에 달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역사상 최대 규모의 기름유출 사고인 1989년 알래스카 해역에서 발생한 엑손 발데즈호 기름 유출사건 당시의 25만7,000배럴을 훨씬 능가하는 엄청난 양이다.
유출된 기름띠는 현재 루이지애나주와 미시시피, 앨라배마 해안을 거쳐 펜사콜라 등 플로리다주 서부해안에 까지 도달하며 확산되고 있다. 해안경비대 측은 지난 6일 현재 기름이 반경 약 320km 해역까지 퍼져나갔다고 밝혔다.
▲총력 방제·유출원 차단작업
연방 정부는 사고 직후 해안경비대의 헬리콥터 등 300여대의 항공기와 해안경비선 등 6,450척의 선박을 동원해 방제작업에 나서고 있다. 또 연방 정부 인력과 주방위군 등을 투입해 총력전에 나서는 가운데 오바마 대통령은 기름띠 피해가 발생하는 루이지애나, 플로리다, 앨라배마, 미시시피 등 4개 주에서 1만7,000명 이상의 방위군을 추가로 투입키로 했다.
BP는 사고 발생 초기부터 기름 유출원의 차단을 위해 런던 본사의 엔지니어들까지 동원해 각종 첨단기법을 시도하고 있지만 번번이 실패를 거듭하고 있는 상황이다. 초기 유정 내 분출압력을 낮추는 폭발방지기의 수리를 시도했으나 실패했고, 5월 초 건물 4층 높이의 대형 철제 컨테이너 형태의 ‘오염물질 차단 돔’을 해저에 설치하는 작업도 개스 하이드레이트가 발생해 중단됐다.
해저 유정에 점토성분이 높은 액체를 투사해 유출원을 막는 ‘톱 킬’(top kill) 방식도 실패로 끝난 가운데 소형 차단돔을 설치해 기름을 흡수하는 방식만 일부 성공한 상태이다.
BP는 17일부터 두 번째 소형 차단돔 설치작업을 시작했지만 유출원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는 현 유정에서 1마일 정도 떨어진 곳에서 시도중인 감압유정 굴착공사가 완료될 8월 초까지 기다려야 할 상황이다.
문제는 미국에서 1일부터 허리케인 시즌이 시작됐고 허리케인이 예년보다 극성을 부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점.
6월 말부터 8월 초 사이에 허리케인이 발생해 멕시코만을 통과하게 될 경우 기름띠가 세계적인 관광지로 유명한 플로리다 해안까지 덮쳐 최악의 피해를 낼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특히 멕시코만의 기름띠가 순환해류(Loop Current)를 타고 남쪽으로 내려가 플로리다 해협을 거쳐 멕시코 만류(Gulf Stream)를 타고 대서양 쪽으로 이동할 경우 조지아, 사우스캐롤라이나 등 동부 연안까지 오염시키는 최악의 사태로 발전할 개연성도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한마디로 멕시코만 기름유출 사태는 최악의 경우 8월까지 지속돼 100일을 넘길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사태가 수습되더라도 완전한 환경복구에는 수년이 더 걸리는 유례없는 최악의 환경오염 사고로 기록될 게 확실시 된다.
▲경제적 피해와 보상
멕시코만은 미국 내에서 소비되는 굴의 67%가 이곳에서 공급되고, 새우, 게 등 연안 어종이 많이 잡히는 어업중심지다. 여기에 앨라배마주와 플로리다 해안은 대표적인 관광지로서, 여름 휴가철을 앞두고 예약이 대거 취소되면서 경제적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칼 헨릭 스반베르 BP 회장은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의 면담 후 기름오염에 따른 피해를 보상하기 위해 200억달러의 기금을 내놓는 한편, 올해 말까지 주주 배당금을 지급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또 유출된 원유가 야생동물의 보고이자 해안 습지로 유명한 루이지애나 해안을 덮친데 이어 미시시피와 앨라배마 해안을 거쳐 현재는 플로리다 서부해안까지 위협하고 있다.
▲오바마의 카트리나 되나
원유유출 사태가 두 달째 장기화되자 미국 내 여론이 연방 정부가 초동 대처에 실패해 환경재앙을 키웠다는 인식이 팽배해지면서 이번 사태가 오바마 대통령의 ‘카트리나’로 비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에 따라 사고 발생 이후 4차례 현지를 방문해 성난 민심을 달랜데 이어 15일 백악관 집무실인 오벌 오피스에서 첫 TV 대국민 연설까지 하며 위기국면의 돌파에 나섰다.
오바마 대통령은 “모든 것을 동원해 이번 기름유출 사태에 맞서 싸울 것”이라면서 원유유출 사고를 일으킨 석유회사 BP의 부주의를 질타하고, BP에 피해를 완전히 배상하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16일에는 BP 경영진과 3시간 넘게 이어진 면담을 통해 BP가 기름오염에 따른 피해를 보상하기 위해 200억달러의 기금을 내놓도록 하는 등 실질적인 피해보상책 마련에도 신경을 쓰고 있다.
하지만 미국 내 여론은 70% 이상이 멕시코만 기름유출 사건과 관련해 오바마 대통령이 사고회사인 영국 석유회사 BP에 대해 보다 강경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는 등 민심은 계속 악화되고 있다.
파괴된 원유 파이프에서 검은 원유들이 계속 쏟아져 나오고 있다. 지난 6일 수중 촬영한 영상이다. (AP)
지난 3일 루이지애나 연안 해변에서 기름을 뒤집어 쓴 펠리칸 한 마리가 절규하듯 울부짖고 있다. (AP)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지난 14일 앨라배마 시오도르의 오염방제 시설에 들러 유출 원유 처리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AP)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