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자구도에 복잡해진 대선 방정식…安 독자 등판·沈 완주 의지에 ‘표 분산’
▶ 與 대통합론 속도·野 ‘安 품기’ 셈법 가동…양 진영, 지지층 총결집 대결
▶ 박빙 승부 속 일대일구도 구축될까…安 파괴력·김동연 제3지대 행보 관심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가 29일(한국시간) 대구 청년센터에서 지역의 청년대표들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
넉 달 앞으로 다가온 내년 대선이 다자 구도로 출발하게 되면서 여도 야도 비상이 걸렸다.
정의당 심상정 의원에 이어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가 내달 1일(이하 한국시간) 대선 출사표를 던지겠다고 31일 예고함에 따라 일단 대선 판이 4자 구도로 재편된 것이다.
내년 대선이 여야간 박빙의 승부로 흘러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으로선 진영내 표 분산으로 대선 승리 방정식의 셈법이 한층 복잡해진 셈이다.
여기에 김동연 전 경제부총리가 '새로운 물결' 창당을 선언, 대선 독자 출마 행보를 이어가는 등 제3지대도 꿈틀대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여도 야도 지지층 '영끌'을 사활을 걸 것으로 보여 선거 막판에 일대일 대결 구축으로 귀결될지도 주목된다.
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는 보수대통합론에 맞서 여권 대통합론과 '당내 대사면' 카드를 꺼내든 상태다.
이를 통해 범여권 지지층을 총결집, 이탈을 막고 내부 결속을 공고히 하겠다는 것이다.
이 후보가 열린민주당과의 통합 의지도 천명함에 따라 후속 작업이 탄력을 받을지도 주목된다.
이 후보는 연합뉴스의 인터뷰에서 심 후보의 독자 출마에 따른 표 분산 문제와 관련, "심 후보 본인은 (완주) 의지를 표명하는데 정치는 정치인이 아니고 국민이 하는 것"이라면서 "그때 가서 우리가 함께 이길 수 있는 길을 국민이 제시해줄 것"이라며 우회적으로 압박하기도 했다.
그러나 심 후보는 이날 민주당과의 후보 단일화 여부에 대해 "'단일화'는 역사적 시효가 끝났고, 양자 대결 구도는 양당 독재의 또 다른 이름"이라고 일축하며 완주 의사를 재확인했다.
야권은 당장 안 대표의 등판에 따른 보수·중도 표 분열 가능성을 우려해야 하는 상황에 부닥쳤다.
민주당에 맞서기 위해 정권교체 여론을 결집해야 하는 상황에서 안 대표의 출마라는 달갑지 않은 변수가 등장한 것이다.
당장 안 대표가 대선을 독자 완주할지, 아니면 야권 후보 단일화에 나설지가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현재 다자구도를 가상한 여론조사에서 5∼8%의 지지율을 보이는 안 대표가 이런 지지율을 유지하며 대선 레이스를 이어갈 경우 국민의힘에선 단일화 요구가 높아질 수밖에 없다.
국민의힘 대권주자들은 이날 "세력 연대 추진"(홍준표 의원), "후보 단일화 추진"(유승민 전 의원) 등 일찌감치 안 대표를 향해 구애에 나섰다.
다만 이준석 대표는 단일화 논의에 거리를 두고 있어 지도부와 대권주자들간에 온도차가 감지된다.
아울러 11월 5일 국민의힘 후보 선출 후 '컨벤션 효과' 등에 힘입어 보수층이나 중도층 지지세가 국민의힘 후보에 쏠린다면 안 대표의 입지가 좁아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앞서 4·7 보궐선거 과정에서 '야권통합'과 '정권교체'를 기치로 내세웠던 안 대표가 합당 약속을 지키지 않고 독자 출마하는 것에 대한 비판 여론이 제기될 가능성도 있다.
이러한 까닭에 국민의힘과 국민의당 모두 초반 대선 레이스에서 단일화 논의엔 거리를 두고 당분간 기 싸움을 이어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신당 창당에 나선 김 전 부총리의 행보도 변수다.
붕 떠 있는 중도층 표심이 김 전 부총리를 구심점으로 한 '제3지대'로 향할 경우 대선의 향방을 가를 키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김 전 부총리는 현재 민주당과 국민의힘 양쪽에서 러브콜을 받고 있지만, 양측과의 단일화에 거리를 두고 있다.
다만 '기득권 양당 구조 깨기'라는 공통분모 아래 안철수 대표나 심상정 대표와 언제든 만나 대화할 수 있다며 제3지대 연대 가능성은 우선 열어둔 상태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