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세대 위성통신 연결 지원…세계 어디서나 5G 연결 가능”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무선 주파수 대역을 사들여 위성통신과 휴대전화를 직접 연결하는 서비스를 대폭 확장할 수 있게 됐다.
스페이스X는 8일 미국 통신서비스 업체인 에코스타와 50㎒의 무선 주파수 대역 및 글로벌 이동위성서비스(MSS) 주파수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 계약으로 스페이스X는 휴대전화와 직접 연결되는(다이렉트 투 셀, Direct to Cell) 차세대 스타링크 위성망을 개발·배치해 전 세계 어디에서나 휴대전화에 광대역 통신·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스페이스X는 지난해 1월 전 지구에서 모바일 사각지대를 없앤다는 목표로 별도의 단말기 없이 휴대전화에 직접 연결되는 '다이렉트 투 셀' 기능 탑재 스타링크 위성을 배치하기 시작했다.
이후 미국의 티모바일(T-mobile) 등 각 지역 이동통신사와의 협업으로 휴대전화 문자메시지 전송에 이어 영상통화 기능 등으로 서비스를 확대했다.
스페이스X는 현재 600여개의 1세대 스타링크 다이렉트 투 셀 위성이 궤도에 배치돼 전 세계 600만명 이상의 이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전했다.
스페이스X는 이번에 인수한 무선 주파수 대역폭을 완전히 활용하는 차세대 스타링크 위성을 설계, 궤도에 배치해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자체 광대역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회사 측은 "대부분의 환경에서 이는 현재 지상 LTE 서비스와 비슷한 경험을 제공하는 완전한 5G 셀룰러 연결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최신 위성 기술과 독점 주파수, 저궤도에 전례 없는 (위성) 탑재량을 배치하는 스타십 로켓과 결합돼, 차세대 스타링크 다이렉트 투 셀 서비스는 전 세계 커버리지 공백을 해소하고 궁극적으로 모바일 사각지대를 없앨 것"이라고 자신했다.
블룸버그 통신 등은 스페이스X가 에코스타에 약 170억달러(약 23조6천억원)의 현금과 주식을 지급하기로 하고 무선 주파수 대역을 인수했다고 전했다.
경영난에 빠져 있던 에코스타는 이번 거래로 회생 가능성이 커져 이날 뉴욕증시에서 주가가 19.91% 급등했다.
반면 스페이스X의 본격적인 이동통신 서비스 진출에 따라 기존 사업자들의 시장이 잠식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티모바일(3.90%↓)과 버라이즌 커뮤니케이션스(2.39%↓), AT&T(2.33%↓) 등 미국 3대 통신사 주가는 모두 큰 폭으로 하락했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