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 A: You must go through customs inspection after immigration inspection.
B: Which way do I go?
S-> A: Tiene que pasar por la aduana despues de la inspeccion de inmigracion.(띠에네 께 빠싸르 뽀르 라 아두아나 데스뿌에스 데 라 인스빽씨온 데 인미 그라씨온.)
B: ¿Por donde paso?
(뽀르 돈데 빠쏘?)
K-> A: 이민 심사를 끝낸 후에 세관 검사를 통과 하셔야 합니다.
B: 어느 쪽으로 가야 하죠?
⇒ 어느 나라든지 여행을 가면 가장 먼저 통과하는 곳이 이민국이고 그 다음에 통과하는 곳이 세관이다. 위의 표현은 이민국을 통과하고 나서 세관 검사를 하기 위해서 어디로 가야하는지 모를 때 사용하는 표현이다.
⇒ custom: 두 가지 뜻이 있는데 위에서는 “관세(customs), 세관”이라는 뜻으로 사용되었다. 그 외에 “관습, 풍습”이라는 뜻으로도 사용된다. 형용사형인 customary는 “습관적인, 관습상의”라는 뜻이다.
예) It’s customary for Koreans to take off their shoes.
(신발을 벗는 것은 한국사람들의 관습입니다.)
예) According to Korean custom, you must bow in front of elderly people.(한국 사람들의 관습에 따르면, 나이가 많은 사람들 앞에서는 인사를 해야합니다.)
⇒ inspection: “조사, 검사”라는 뜻으로 동사형은 inspect(검사하다, 사찰하다)이다. 비슷한 뜻의 단어로는 investigate, examine, think through, check, ponder upon 등이 있다.
예) I ran into an inspection officer the other day.
(며칠 전에 우연히 어떤 검시관을 만났어요.)
예) All the countries must inspect the fruits and the vegetables before they permit them in. (모든 나라들은 나라안으로 들여놓기 전에 모든 과일과 야채를 검사해야 한다.)
※ 비슷한 표현들
- Everyone must pass the inspection before entering the U.S.
- He got caught bringing narcotics at LAX.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