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직장에 다니는 교포여성이 어느날 심한 생리통으로 배를 움켜쥐고 괴로워하는 것을 보고 옆 자리의 미국여성이 왜 그러느냐고 물었다. 그 교포는 “멘스”라고 말했다. 그랬더니 미국여자는 Men’s room? No. You want to go to the ladies’ room, right? Go ahead.(남자화장실? 아니지, 당신은 여자화장실에 가고싶단 말이지요? 자, 갔다와요)라고 하더라는 것이다.
여성의 생리(월경)을 한국에서는 “멘스”라고도 하니까 이 교포여성도 멘스 때문에 자기가 괴로워하고 있다는 뜻으로 “멘스”라고 했던 것인데, 미국여자는 한국여성이 화장실을 men’s room (멘즈 루움-남자화장실)으로 말한것으로 오해했던 것이다. 왜냐하면 미국에서는 “멘스”가 여성생리란 뜻이 아니기 때문이다.
생리는 menstrual period(멘스트루얼 피어리어드)라 하는데, 이것을 한국서는 맨 앞대가리만 뚝 잘라서 “멘스”라고 쓰는 것이다. 그러나 미국서는 절대로 mens라고 줄여쓰지는 않지만, 그냥 period라고는 줄여 쓴다. “나는 지금 생리중입니다”는 I’m having my period.(아임 해빙 마이 피어리어드)라고 하거나 I’m on my period.(아임 온 마이 피어리어드)라고 하면 된다. 슬랭(속어)로는 I am on the rag.(나는 걸래를 차고있다)라고도 하지만 이런 말은 쓰지 않는게 좋다. “생리통이 있다”고 하려면 I’m having a painful period.(아임 해빙 어 페인풀 피어리어드)라 하면 된다.
“생리가 불순하다”는 I have irregular periods.(아이 해브 이레귤러 피어리어즈), “생리의 양이 너무 많다”는 I have heavy periods.(아이 해브 헤비 피어리어즈)라고 하면 된다. 생리가 시작되기 며칠 전부터 여성들이 느끼는 심리적, 신체적 불편을 premenstrual syndrome(프리멘스트루얼 씬드로옴) 또는 간단히 PMS라 한다.
Mrs. Jones: You look pale, Mrs. Kim. Is there anything I can help with?
Mrs. Kim: No, thank you. I’m just having my period. During a period I usually have stomachaches.
Mrs. Jones: Really? That’s too bad.
존스부인: 미씨즈 김, 얼굴이 창백한데, 내가 뭐 도와드릴 일이라도 있습니까?
김씨부인: 아니 괜찮아요. 내가 지금 생리중이라 그래요. 나는 생리 기간 중에 보통 복통이 있거든요.
존스부인: 그래요? 그거 안됐군요.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