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이 찬 게장은 참게와 꽃게로 담근다.
게장은 주로 참게와 꽃게로 담는다.
참게는 한자어로 해(蟹) 또는 천해(川蟹)라 하였는데 해는 또 참게와 동남참게를 가리키기도 하였다. 《동국여지승람》에 참게가 강원을 제외한 전국 각지의 토산물로 소개되어 있다. 《자산어보》에 ‘참궤’라 하였고, 그 형태 ·생태 및 잡는 법이 설명되어 있다.《전어지》에도 참게 잡는 법이 기록되어 있다.《규합총서》에는 게의 보관법 ·게젓 담그는 법과 굽는 법 ·게찜 등이 기록되어 있다. 갑각길이 약 63 mm, 갑각나비 약 70 mm이다.
갑각의 윤곽은 둥그스름한 사각형이다. 이마에는 4개의 납작하고 삼각형인 이가 있으며 그것들의 등면은 오목하다. 갑각의 옆 가장자리에는 눈 뒷니를 포함하여 4개의 뾰족한 이가 있는데 뒤의 것일수록 더 작고 맨 뒤의 것은 매우 작다. 갑각의 등면은 어느 정도 볼록하고 등면의 H자 모양의 홈은 뚜렷하다. 갑각의 모든 모서리에 과립들이 촘촘히 널려 있다. 갑각의 등면에는 제3이의 기부에서부터 안쪽으로 가로로 달리는 뚜렷하지 않은 과립선과 제4이에서부터 안쪽으로 비스듬히 달리는 과립선이 있다. 양 집게다리는 대칭을 이루며 억세게 생겼고 가시들을 지닌다. 손바닥은 짧고 넓으며 그 앞면 및 손가락 기부에 연한 털 다발이 있다. 4쌍의 걷는 다리는 가늘고 길다. 배는 암수 모두 7마디로 되어 있다. 이 종은 크고 작은 하천 유역, 특히 바다에 가까운 곳의 민물에서 살며, 흔히 논두렁 또는 논둑에 구멍을 파고 산다. 식성은 잡식성이다. 산란 전인 가을철에 살던
곳을 떠나 바다로 내려간다.
해변의 바다에서 산란 포란하고 부화한 다음 유생이 민물로 올라와 성장하는 것 같다. 폐디스토마의 중간숙주이므로, 참게를 잡거나 매매하는 것을 금한 적도 있다. 한국에서는 황해에 유입하는 하천수역에 분포한다. 이때까지 알려진 바에 따르면 남한 게는 전북이다. 한국에서 산란기는 11∼12월이고, 1∼4월에 조에아 유생이 부화된다. 참게는 불과 반세기 전까지만 해도 우리나라 어느 하천에서나 흔히 잡혔다. 조선시대의 지리지
인 「동국여지승람」을 보면 「참게는 강원도를 제외한 7도(道) 71개 고을의 토산물 이었다」는 기록이 있다.
참게는 이때쯤의 늦가을 말고도 매화꽃 필 즈음의 이른 봄철에도 많이 잡힌다. 강의 하 구에서 겨우내 자란 어린 게들은 영등사리 (음력 2월 그믐)를 전후해 상류 쪽으로 올라오기 시작한다. 게가 올라오기를 기다리던 어부들은 참게가 지나는 길목을 골라 통발을 설치한다. 이 무렵 잡힌 참게는 가을 참게와 달리 6개월쯤 양식장에 가둬두고 더 키워야 한다. 몸통이 굵어지고 알이 가득 찼을 때 참게 맛이 가장 좋기 때문이다.민물과 바닷물을 왔다 갔다하는 참게는 본래부터 ‘귀물’. 특히 전남 이북과 충청, 임진강 지역에서 나온 ‘까치내 참게’는 예로부터 유명한 임금님 진상품이었다.
옛날에는 참게가 내려가는 길목에 삿갓처럼 생긴 움막집 ‘게막’을 짓고, 한쪽 여울목에는 대나무와 싸리를 촘촘히 엮은 발을 둘러쳐 놓았다. 물을 통째로 막지 않고 3분의 1정도의 길목은 숨통을 터주었다. 다른 물고기들이 내려가도록 하기 위해서다. 때로는 게막 안에서 대나무를 얼
기설기 얽은 통발을 가만히 대고 있기도 한다. 모두 산란하러 바다로 가는 참게를 ‘막아서’ 잡기 위한 장치다. 자연친화적이고 원시적인 정취마저 물씬 풍긴다. 참게가 바다로 내려가는 10월말~11월께는 직접 참게 잡이를 할 수도 있다.
살아 있는 참게에게 얇게 저민 소고기를 먹이는 데 잔뜩 배부르게 소고기를 먹은 참게를 오지 항아리에 넣고 마늘 고추 생강을 넣어 다린 간장을 붓는다. 살은 게들은 본의 아니게 간장을 머금게 되며 하루 이틀 지난 뒤 그 간장을 퍼내어 끓여 식힌 다음 다시 독에 붓고 하기를 여러 차례 하면 게도 먹고 게의 뱃속에 차있는 소고기도 꺼내 먹는 맛. 그리고 게딱지의 장을 발라내고 밥을 넣어 비벼먹는 바로 밥도둑이라고 일컫는 간장게장이 된다. 꽃게는 보통 게와는 달리 헤엄을 잘 치기 때문에 서양에서는 ‘swimming crab’이라고 한다.
몸통의 껍데기는 길이 약 8.5cm, 너비 약 17.5cm의 옆으로 퍼진 마름모꼴이며, 다리가 양쪽에 각각 다섯 개씩 있다. 가장 위쪽의 집게다리는 크고 억세며, 모서리에 날카로운 가시가 있다. 나머지 4쌍의 다리는 걸을 때 사용하며, 가장 아래쪽의 한 쌍은 부채 모양으로 넙적하고 평평하여 헤엄치기에 적합하다. 암컷은 어두운 갈색 바탕에 등딱지의 뒤쪽에 흰 무늬가 있고, 수컷은 초록빛을 띤 짙은 갈색이다. 뒤집으면 하얗고 단단한 꼭지가 복부를 덮고 있는데, 암컷은 그것이 둥글고, 수컷은 모가 나 있다.
수심 20~30m의 바닷가 모랫바닥에서 서식하며, 야행성으로서 낮에는 보통 모래펄 속에 숨어 지내다가 밤이 되면 활발하게 먹이를 잡아먹는다. 육식동물로서 바다 속의 모래나 진흙을 파고 들어가 눈과 촉각만 남겨놓고 숨어서 먹이를 기다리다가, 먹이가 다가오면 재빨리 집게발을 들어 작은 물고기 등을 공격한다. 겨울에는 깊은 곳이나 먼 바다로 이동하여 겨울잠을 자며, 3월 하순경부터 산란을 위해 얕은 곳이나 만의 안쪽으로 이동한다. 산란기는 6~8월이다.
찜, 탕, 게장 등으로 조리하며, 게장은 6월에 알이 찬 암게로 담근 것을 최고로 친다. 껍데기에는 아스타산틴(astaxanthin)이라는 물질이 있어 단백질과 결합하여 다양한 색을 내는데, 가열하면 결합이 끊어져 본래의 색인 붉은색을 나타내기 때문에 삶으면 껍질이 붉은색을 띠게 된다.간장게장은 잘못 담그면 자칫 비린내가 나 먹기가 거북하게 된다. 우선, 손질을 깨끗하게 한 뒤 간장에 향신 재료와 술을 넣어 팔팔 끓이는 게 요령이다. 살아 있는 게를 손질하기가 좀 까다로운데, 다리를 잡으면 스스로 끊어버리기 때문에 집게발 반대편에서 몸통을 꽉 눌러 잡고 흐르는 물에 대고 솔로 껍데기와 배를 박박 문질러 씻으면 된다.
깨끗이 씻은 꽃게는 체에 밭쳐 물기를 빼두었다가 간장물을 붓기 직전 손질하는데, 같은 요령으로 게를 잡고 집게발을 제외한 나머지 발끝을 가위로 자른다. 그래야 간장물이 다리 속까지 쏙 배어들며 이때 재빨리 잘라야 다리가 끊어지지 않는다. 그런 다음 꽃게를 도마 위에 놓고 등딱지와 집게다리를 칼등으로 내리쳐 금이 가게 한다.
간장물이 잘 배도록 하기 위해서인데, 이 과정을 생략하면 간이 잘 배지 않아서 비린내가 난다. 간장에 물과 설탕, 청주를 섞는데, 이때 간을 보아서 좀 짜다 싶으면 물을 더 넣어도 괜찮다..비린내를 없애는 향신 재료로는 청주와 마른 고추, 양파, 대파 흰 부분, 생강 정도가 가장 기본이고 여기에 통후추나 계피, 월계수 잎, 감초나 황기 등을 넣기도 한다. 또한 다시마를 넣으면 간장의 감칠맛이 더 좋아지는데, 표고버섯이나 대추, 황태포, 국물용 멸치 등을 넣기도 한다. 게를 입구가 좁은 용기에 담고 식힌 간장물을 붓는다. 하루가 지난 후 게만 건지고 국물을 끓여 식힌 뒤 다시 붓는다. 하루 지난 후부터 먹을 수 있다. 많이 해서 두고두고 먹지 말고 사나흘 분량만큼씩만 만들어서 맛있게 먹는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