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업주 고 김명한옹, 1973년 오픈 숱한 애환
▶ 건물주 4남이 매각, 친손자“가업 유지 꿈”

건물 매각으로 8월말 45년간의 올림픽가 시대를 마감하고 새로운 장소를 물색하고 있는 김방앗간. <박상혁 기자>
지난 1973년 올림픽가에 오픈해 45년간 LA 한인사회와 애환을 함께 해 온 LA 한인타운 최장수 업체 중 하나인 김방앗간(사진)이 이달 말로 올림픽가 시대를 마감한다.
업계에 따르면 김방앗간이 위치한 건물(3031 W. Olympic Bl. LA)의 소유주인 김기순씨(고 김명한옹의 4남)가 건물을 매각키로 해 현재 에스크로가 진행 중인데 이달 말까지 건물을 비워줘야 할 처지에 놓인 것.
2004년 1월 103세를 일기로 별세한 김명한 옹의 유지를 받들어 김방앗간을 운영해온 손자 제임스 김씨는 16일 “현 건물주인 작은 아버지와 매입자 측의 매입 조건에 따라 이달 말까지 건물을 비워달라는 통보를 받았다”며 “가능하면 LA 한인타운에서 계속 영업을 하고 싶어 새 장소를 찾고 있으나 아직 찾지 못한 상태”라고 말했다. 제임스 김씨는 한인회장을 지낸 고 김기성씨의 아들이다.
이같은 소식이 알려지자 많은 한인 단골 고객들은 김방앗간이 미주 한인사회 최초의 방앗간으로 LA 한인 이민사의 상징과도 같았다며 아쉬움을 표시하면서 새로운 장소에서 다시 김방앗간의 이름으로 영업을 이어가기를 희망했다.
제임스 김씨는 “할아버지가 만든 김방앗간 간판이라도 보존하고 싶다”며 “45년간 있었던 이 장소를 옮겨야한다는 생각에 잠을 이루지 못할 때가 많다”고 말했다.
김방앗간은 고 김명한옹이 이민 올 때 가져온 떡 기계 4대로 1969년 웨스턴가에 첫 매장을 오픈했다가 1973년 서울국제공원 옆 올림픽가에 현재의 김방앗간을 열었다.
고 김명한옹은 노인들이 모여 담소를 나눌만한 장소가 마땅치 않았던 70년대에 노인들을 위해 방앗간 옆에 장소를 마련하고 매달 노인잔치를 열어주는 등 한인타운의 사랑방 역할을 하기도 했다. 이후 설날과 추석 등 명절에는 김방앗간 떡을 사기위해 한인들이 길게 줄을 서는 등 한인들로부터 사랑을 받아왔다.
한편 이 부동산은 지난 1960년 완공, 대지면적 약 0.10 에이커(약 4,356스퀘어피트), 실내면적 4,324스퀘어피트 규모의 단층 건물로 최근 195만달러에 매물로 나왔었다.
건물 매입자는 한인 투자그룹으로 알려졌는데 다양한 재개발 계획을 갖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
조환동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3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이집에서 떡사먹던 기억이 나네요. 가면 뭔가를 주던 방앗간...
드라마 모래시계를 비디오로 볼때 김방아간 사장님이 제일 바쁘셨습니다..그때 비디오로 드라마를 보신분들은 이해 하실겁니다.
아쉽지만 과거가 영원히 존재 할수는 없지요. 요즘 LA사는 50대 이전 사람들은 김방아간이 뭐하는데 인줄도 모른다. 올드 타이머들 기억에만 남아있는 한인타운의 상징물이지요. 고 김명한 옹이 살아있을때가 전성기 였네요. 이제는 역사의 한부분으로 기억이 남을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