갇혀서 나갈 수 없는 답답함을 벗어나고자 모란꽃이 질 무렵 모란공원을 찾았다. 초여름 높은 나무 그늘 아래 바람 향기가 시원하고 맛있는데 세상 물정 모르는 두살박이 손녀는 마스크 쓴 채로 천방지축 언덕을 뛰면서 오르내린다.
옛시절 한 구절 “ 모란이 뚝뚝 떨어져 버린 날 나는 비로소 봄을 여읜 설음에 잠길 테요” 지구상의 모든 인류가 동일하게 코비드의 만연으로 겨울 봄 여름을 잊은 채 설움을 안고 가을 문턱에 다다랐다.
우주에서 유일하게 생명체가 있는 가장 아름다운 행성인 지구는 서로 다른 인종이 나라의 경계를 정하고 각기 우월을 내 세우며 다툼을 벌이는데 생명체도 아닌 미물 코로나 바이러스의 숙주가 되어 세계는 설명도 안되는 통제 속에 생명 까지도 위협 받으며 신음하고 있다.
고도의 문명과 교통의 발달로 세계는 하루 생활권에 들도록 왕래가 빠르더니 코로나 바이러스도 번개처럼 퍼졌다. 6개월 걸리는 화성을 갈 때 우주 비행사를 위해 야채 기르기를 연구 중이라는 첨단 과학과 세계의 절대 강국으로 군림하는 미국이 초기에 코비드를 계절성 독감 정도로 가볍게 넘겨보더니 지금은 바이러스 진원지처럼 되었다.
인류의 무서운 역병의 역사를 돌아보니 미개 했던 옛날이나 최고의 문명을 자랑 하는 금세기나 대처 방법이 없기는 매일반이다.
신종 바이러스라고 하지만 거의 60년 전에 발견되었다고 하는데 왜 지금 창궐하게 되었을까 궁금하다. 다양한 생태계의 파괴로 제자리를 벗어난 미생물이 변형되어 인류에게 치명적인 질병을 가져다준다는 연구에 주목해야 할 것 같다.
시골 양반 돈 키호테( Don Quixote) 가 엉터리 기사 작위를 받고 세상을 구하기 위해 떠날 때 괴물 같은 거인으로 보인 풍차에 창을 들고 돌진 하듯이 지금 우리도 손 잘 씻고 마스크 쓰고 의심의 눈초리로 거리 두고 마치 기사 자격을 받은 것처럼 눈에 보이지도 않는 코비드에 대처하는 돈키호테가 되어 본다.
우리 인간은 지구라는 울타리를 벗어 날 수도 없다. 재확산의 소식도 들리고 방역 수칙을 지켜 개개인이 코비드의 매개체가 되지 않는 것이 세상을 구하는 길이다. 엄청난 사회적 변화를 가져온 팬데믹도 나뉘었던 강물이 갈 길을 찾아 가듯이 기다리면 흘러 갈 것이다.
나의 Super Food 깻잎 텃밭에서 잡풀을 뽑으며 땀 흘려 몸속의 노폐물 처리하고 숲속의 신선한 공기와 거저 받은 햇빛으로 면역력 키우고 집 주위를 뱅뱅 돌면서 바이러스 공포를 벗어나려 한다.
<
송영옥/뉴욕 이스트 하노버>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1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ㅎㅎㅎㅎ재미있게 잘 읽었습니다, 건강관리가 나를 지키고 코로나도 나를 비켜가리라 여겨지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