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연구 팀은 의대생 시절 외톨이였던 의사들을 찾아냈다. 수십 년 후 이 외로운 늑대들은 사교적이었던 친구들에 비해 암 발생률이 현저히 높았다.
또 다른 연구에 따르면 심장마비를 겪은 후 재발한 사람의 비율은 혼자 산 사람의 경우 16%였고, 다른 사람과 함께 산 사람의 경우 9%였다. 이와 반대로 강한 사회적 유대를 형성한 사람들은 스트레스가 심한 사건에 덜 속상해 하고, 질병 저항력이 더 강하며 치명적인 병을 진단받은 후에도 더 오래 산다.
스트레스를 받는 일에 대해 이웃과 함께 이야기를 나누기만 해도 정서적, 신체적 건강을 개선할 수 있다.” (스티브 뉴버그의 ‘Social Psychol ogy’ 중에서)
연일 계속되는 강의 일정으로 아인슈타인 박사는 온 몸이 지쳐있었다. 예정된 강연을 위해 어떤 대학교 앞에 도착할 무렵이다. 문득 전속 기사가 말했다. “박사님, 오늘 무척 피곤해 보이십니다. 오늘 오후 강의는 저에게 한 번 맡겨주세요. 박사님의 강의를 수없이 듣고 나니 강의 내용을 다 외울 정도가 되었습니다.”
잠시 생각한 후 아인슈타인 박사는 말했다. “자네 말대로 해보세.” 두 사람은 그 자리에서 옷을 바꿔 입고 가방은 운전수의 손에 쥐어졌다. 가짜 아인슈타인의 강의는 훌륭했다. 말투는 물론 표정 하나하나가 꼭 아인슈타인과 같았다.
강의를 마치고 강단을 내려오려는데 문제가 발생했다. 맨 앞줄에 앉은 한 노 교수가 손을 들고 말했다. “박사님, 한 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그 질문은 ‘상대성이론’(theory of relativity)과 관련된 수준 높은 수학방정식에 관한 것이었다. 갑자기 발생한 위기상황이라 가짜 아인슈타인 박사는 맨붕 상태에 빠졌다.
하지만 가짜 아인슈타인 박사도 진짜 아이슈타인 박사만큼 침착했다. 곧 정신을 가담 듣고 조용히 말했다. “그 정도의 질문이라면 긴 설명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아마 저의 운전기사도 간단하게 대답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보게, 자네가 교수님의 질문에 답해드리게나.” 아인슈타인 박사는 안도의 숨을 쉬면서 강단에 올라 훌륭하게 설명했고 강연은 대성공이었다.
당신은 리더인가. 이웃에 내게 다가왔을 때 기댈 만한 어깨가 되어주는 따뜻한 사람이 되라. 받기만 하는 사해가 되지 말고 끊임없이 교류(交流)하는 갈릴리 바다가 되라. “이웃에게 무엇을 얻어낼까?” 보다는 “이웃에게 무엇을 줄 수 있을까?”를 먼저 생각하라. 조건 없는 은혜를 베풀라. 특히 낮선 사람에게 그렇게 하라.
<
김창만/목사·AG 뉴욕 신학대학(원)학장>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