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능마비·언어장애 후유증 심해
▶ 60~70대 많지만 젊은층도 주의

혈관이 막혀 뇌가 손상되면 ‘뇌경색’(왼쪽), 혈관이 터져 뇌가 손상되면 ‘뇌출혈’로 분류된다. [사진 제공=서울아산병원]
고령화가 가속화하면서 뇌졸중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뇌졸중은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 조직이 손상되는 질환이다. 혈관이 막혀 뇌가 손상되면 ‘뇌경색’, 혈관이 터져 뇌가 손상되면 ‘뇌출혈’로 분류된다. 전체 뇌졸중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뇌경색의 가장 큰 원인은 혈관 벽이 두껍고 딱딱해지는 동맥경화다. 고혈압 환자가 뇌졸중에 걸릴 확률은 정상인보다 4~5배 높다고 알려졌다.
동맥경화로 혈관이 좁아지면 혈액이 원활하게 흐르지 못하고, 혈액 속 혈소판이 활성화돼 핏덩어리인 혈전이 생긴다. 이 혈전이 떨어져서 뇌혈관을 막으면 뇌졸중이 오고, 산소공급이 안 돼 뇌손상이 진행된다. 따라서 동맥경화가 생기기 전에 고혈압과 고지혈증을 잘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심방세동, 판막증과 같은 심장질환도 뇌졸중의 심각한 위험인자로 알려졌다. 심방세동이 있으면 뇌졸중 발생률이 △50대 4배 △60대 2.6배 △70대 3.3배 △80대 4.5배로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어, 적절한 항응고제 치료가 필요하다.
뇌졸중은 55세 이후 발병률이 높아진다. 나이를 10살 먹을 때마다 뇌졸중 발생률도 약 2배씩 증가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뇌졸중 진료 환자는 60만 명을 넘었는데, 60~70대가 3분의 1을 차지했다. 단, 젊다고 안심해서는 안 된다. 뇌졸중의 주요 원인인 동맥경화증은 30~40대부터 오랜 시간에 걸쳐 천천히 진행되기 때문이다. 환자가 알아차릴 수 있는 전조증상은 동맥의 직경이 정상보다 50% 이상 좁아진 뒤에야 나타난다. 뇌졸중 증세가 갑자기 발생한 것처럼 보여도 실제로는 수 년 혹은 수십 년 전부터 원인 질환이 심해진 결과다.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 위험인자를 가진 경우 경동맥 초음파 등을 통해 동맥경화 발생 여부를 알아보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의학의 발전으로 뇌졸중 발병 직후 6시간 내에 막힌 혈관을 뚫어주면 뇌손상을 크게 낮출 수 있다. 시간이 지연되면 치명적인 결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조기치료가 중요하다. 뇌졸중은 △갑자기 심한 두통이 생겼거나 △어지럽고 자꾸 넘어지거나 △세상 반쪽이 잘 안보이거나 △한쪽 팔과 다리가 저려오거나 △말을 못하고 발음이 어눌해지는 등의 증상을 통해 자가진단이 가능하다. 대한뇌졸중학회가 개발한 ‘이웃손발(이 하고 웃기, 손들기, 발음하기)’ 식별법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본인 또는 다른 사람의 뇌졸중을 식별했을 땐 환자를 적절한 치료가 가능한 병원 응급실로 빠르게 후송해야 한다. 마비나 감각 저하가 있으면 관절 및 피부 손상, 흡인성 폐렴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환자를 편안한 곳에 눕혀 압박되는 곳을 풀어주고, 환자가 구토를 할 경우 고개를 옆으로 돌려 이물질이 기도로 넘어가지 않게 해야 한다.
뇌졸중 환자는 대부분 지속적인 언어장애, 기능마비 등의 문제를 겪는다. 기대수명도 4~5년 가량 짧아진다. 지금도 늦지 않았다. 금연하고 꾸준히 운동하며 혈관 건강에 좋은 습관을 들여야 한다. 작은 습관 하나를 바꾸는 것 만으로 뇌졸중을 예방할 수 있다.
<
김범준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교수>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