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협상 종료 1년 8개월 전 시작
▶ 8차 회의, 5개월 만에 타결
4일 타결된 제12차 한미 방위비분담특별협정은 ‘속전속결’로 진행됐다. 4월 공식 협의 시작 후 타결까지 5개월 만에 마무리됐다.
최대 18개월(11차 협정)간 줄다리기했던 과거 사례와 비교하면 ‘더 빠르기는 힘든’ 속도라는 평가다. 그 배경에는 이번 11월 대선에서 ‘권토중래’를 노리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을 의식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번 협정은 첫 공식 협의 때부터 이례적이란 평가를 받았다. 종료를 1년 8개월이나 앞두고 시작된 협상에 11월 미국 대선의 예측 불가능성을 해소하려 한다는 해석이 나왔다. 특히나 지목된 건 ‘트럼프 리스크’였다. 미국 우선주의를 내세우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백악관에 재입성할 경우 주한미군의 방위비 분담금 문제로 걸고 넘어지면서 양국이 갈등을 빚을 가능성이 높다는 이유에서다.
실제 트럼프는 방위비 분담에 대한 압박을 노골적으로 이어왔다. “주한미군 유지의 많은 비용을 왜 미국이 부담해야 하느냐”는 인식이 기본이었다. 한국을 포함,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의 유럽 회원국들이 미국 주둔의 대가를 제대로 지불하지 않는다는 불만도 수차례 반복했다.
재임 기간에는 한국의 방위비 분담금을 한꺼번에 5배로 올리라고 압박을 하기까지 했다. 마크 에스퍼 전 국방장관은 최근 회고록에서 미국이 “바가지를 쓰고 있다”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말을 생생히 전했다. 야인시설인 2021년 11월에도 그는 ‘집권 1기 중 후회되는 일’을 묻는 뉴욕타임스 기자 질문에 “한국으로부터 방위비 분담금 50억 달러(약 6조7,000억 원)를 받아내지 못한 것”이라고 대답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공화당 대선 후보가 된 후에도 방위비 분담금 문제를 계속 걸고 넘어졌다. 지난 5월 언론 인터뷰에서 “듣기로 바이든 정부와 (한국이) 재협상을 통해 이전 수준으로 방위비를 훨씬 더 낮췄다”고 지적한 것이다. 그는 이어 “한국은 매우 부유한 나라인데 왜 돈을 지불하지 않는지 모르겠다”고 불만을 터뜨렸다.
박원곤 이화여대 교수는 “미국 측 실무진도 트럼프 정국으로 흘러가면 협상 기류가 어떻게 바뀔 지 모른다는 공감대를 가졌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5개월 만에 속전속결로, 공교롭게 11월 대선에 앞서 협상을 마무리한 것에는 ‘트럼프 리스크’에 대한 한미 양국의 공감대가 바탕이 됐다는 분석이다. 박 교수는 “(협정이 공식 발효되면) 트럼프가 재선을 하더라도 집권 초기에 이 사안을 뒤흔들진 못할 것”이라고 봤다. 우리 정부는 이번 협정에 대해 국무회의 심의와 대통령 재가 등의 절차를 거친 뒤, 곧바로 국회에 비준동의안을 제출할 예정이다.
<
김형준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2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적정 군대 유지엔 엄청 돈이 드는데 주둔할 장소 얻어, 군대 유지비는 돈이 남을 정도로 받아 게다가 슬슬 협박해서 방산 물자를 수십어 달라씩 팔아제켜, 이런 꿩 먹고 알도 먹는 장사가 어디 있나 싶네.미국이나 일본의 입장에선 김정은이가 얼만 이쁘겠나.트럼프가 되면 아마 몇 배 더 내야지 윤거니 정도 인물은 눈만 마주 쳐도 오줌 질질 짜지.미국 입장에선 트럼프가 되면 장땡이예요.
이건 왜곡. 뭉개가 사사건건 중국몽에 사로잡히고 종북질에 환장하며 반미를 해서 그랬던 것. 하지만 당시에 트럼프가 올리려 했던 방의비가 1조5천9백억. 이번에 합의 본 액수가 1조 5천2백억. 별로 차이가 없다. 다 좌경화된 언론들의 흑색선전. 친미, 윤통이 있었다면 아예 이런 문제는 존재하지도 않았을 사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