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약체 스위스, 프랑스와 두번 무승부 저력
조직력·수비 탄탄… 결코 만만한 팀 아니다
한국이 2006 독일월드컵 본선 조추첨에서 프랑스 스위스 토고와 함께 G조에 편성되자, 16강 진출에 대한 낙관론이 축구팬들 사이에서 번지고 있다. 죽음의 조로 불리는 C조나 E조를 피한 점, 최강 브라질 및 개최국인 독일과 한 조로 묶이지 않은 것이 그 근거다.
하지만 방심은 절대 금물이다. 전문가들은 조 추첨 결과에 대해 “대체로 무난하다”는 평가를 내리면서도 유럽의 약체로 알려진 스위스와 처녀 출전국인 토고를 오히려 조심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특히 스위스를 한국의 본선 16강 진출의 최대 걸림돌로 꼽는다. 딕 아드보카트 감독도 “다들 편하다고 생각하겠지만 결코 만만한 조가 아니다. 프랑스에 이어 2조위를 놓고 스위스와 다툴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국제축구연맹(FIFA) 랭킹 36위인 스위스는 그 동안 터키와 유럽 플레이오프전을 통해 간신히 월드컵 본선무대에 올랐다는 점에서 만만한 팀으로 지목돼 왔다. 하지만 유럽 예선에서 프랑스와 두 번 모두 비길 정도로 저력이 있다. 장신들이 버티고 있는 수비가 견고하고 공수전환도 빠르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국은 스위스와 A매치를 치른 적이 없다. 다만 청소년 대표팀(20세 이하)이 지난 6월 네덜란드 엠멘에서 열린 세계청소년선수권에서 1-2로 역전패했다. 당시 지휘봉을 잡았던 박성화 전 청소년대표팀 감독은 “기술적인 면에서는 우리 팀에 비해 뒤졌지만 조직력 만큼은 탄탄했다.
스위스가 조직력을 미처 갖추기 전에 상대를 뒤흔들어 놓는 전략을 채택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형욱 MBC해설위원은 “스위스는 세대교체에 성공해 젊은 선수들이 많이 포진해 있지만 큰 대회 경험이 적다는 약점은 있다”고 지적했다.
어쨌든 한국이 조별 예선에서 6점(2승) 이상의 승점을 얻어야만 16강 진출의 안정권에 들어갈 수 있다. 이를 위해 첫 경기에서 전력이 베일에 싸인 토고를 무조건 잡고, 그 여세를 몰아 프랑스와는 무승부 이상을 기록한 뒤 스위스를 꺾어야 한다는 결론이 나온다.
스위스의 상황도 마찬가지. “무난한 조편성”이라고 반기는 스위스의 쾨비 쿤 대표팀 감독은 “한국은 2002 월드컵 당시 국내파 선수들을 장기간 조련해 이득을 봤지만 지금은 많은 선수들이 해외로 진출해 이런 방식이 가능하지 않다. 해 볼만 하다”고 자신감을 보였다.
박진용 기자 hub@hk.co.kr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