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태목사(얼라이언스신대원교수)
아침 산책길에 무참하게 부러진 나무 한 그루가 길을 막고 있었다. 지난 밤 바람이 세차게 불더니 작은 나무도 아니고 족히 20미터가 넘는 아름드리나무가 쓰러진 것이다. 어쩌다가 이렇게 아름답게 자란 나무가 쓰러졌을까 하고 들여다보니 나무 밑둥의 절반 정도가 벌레에 먹혀서 세
찬 바람을 견디지 못해 부러진 것이다.
이 일을 계기로 플랫 록 숲에 부러진 나무들의 사진을 한 번 찍기로 했다. 그래서 어제는 카메라를 들고 숲으로 가서 살펴보았더니 두 가지 종류의 벌레 먹은 나무가 있었다.
하나는 산책길에 만났던 부러진 나무처럼 아름드리나무로서 가지도 많고 잘 자란 나무들이다. 벌레가 밑둥의 일부를 먹었어도 반 정도는 성했기에 수분 섭취를 잘 하고 뿌리를 깊게 내려서 30년 이상 잘 성장했지만 어느 정도 자라고 나니 그 중량을 버티기에는 밑둥이 부실해서 그 정
도 바람에도 통째로 무참하게 부러진 경우이다.
그런가 하면 10년생 정도밖에 되지 않은 나무들로서 나무 밑둥에서 중턱까지 벌레에게 먹혀서 허옇고 고사해 버린 나무들이다.
일찍부터 벌레에 먹혀서 나무껍질까지 다 말라 수분섭취를 할 수가 없어서 쉬 죽은 나무들이다. 이렇게 고사한 나무는 밑둥이 부러져서 쓰러지지는 않았지만 중턱쯤에서 말라 죽어, 허연 모습이 부서진 빌딩의 잔해처럼 무참했다.
사실 우리 인생도 나무와 다를 게 없다. 후자의 경우처럼 소싯적부터 마음이 벌레 먹혀서 비비꼬인 사람도 있다. 어떻게 되먹은 사람이 사사건건 부정적 사고와 언행으로 일관해서 어떻게 해 볼 도리가 없는 인생이다.
아무리 좋은 말씀으로 자양분을 공급하려해도 속이 다 썩어서 껍질까지 마른 나무처럼 들을 귀가 없어 살아 있는듯하나 죽은 인생을 사는 사람이다.
그런가하면 겉으로는 나름대로 성공해서 잘 나가는 인생을 사는듯하지만 그 심지가 견고하지 않아 작은 염려와 근심에 틈을 주어서 언제 쓰러질지 모르는 인생도 있다.이런 사람은 시험의 폭풍이 밀려 올 때에 무참하게 부러진 거목처럼 낭떠러지로 굴러 떨어지기 쉽다. 그래서 잠언 기자는 “무릇 지킬만한 것보다 더욱 네 마음을 지키라. 생명의 근원이 이에
서 남이니라”(4:23)고 했는가 하면 “마음의 즐거움은 양약이라도 심령의 근심은 뼈를 마르게 하느니라”(17:22)고 말했다.
그러면 어떻게 우리의 마음 밭을 지켜서 성공적인 삶을 살 수 있을까? 바울 사도는 이에 대해 명쾌한 답을 주고 있다. 첫째, 아무 것도 염려하지 말라고 명령한다. 하나님이 사랑하시는 자 곧 그 뜻대로 부르심을 입은 자들에게는 모든 것이 합력하여 선을 이룬다는 믿음이 있기에 염
려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둘째, 어려움을 만날 때마다 기도와 간구로 하나님께 아뢰라고 명령한다. 천지를 창조하신 하나님이 나를 사랑하시는 아버지인데 해결되지 않을 문제가 없지 않은가?
셋째, 항상 기뻐하라고 명령한다. 삶의 여정에서 부딪치는 문제는 우리 인생의 주인이신 하나님께 상급 받을 기회이기 때문이다. 그러할 때에 모든 지각에 뛰어난 하나님의 평강이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우리의 마음과 생각을 지킬 것이라고 약속한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