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빅테크에 자료 요청… “미국인력 못 구했다는 것 사실이냐”

미국 H-1B 비자 일러스트[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내국인 일자리를 보호하겠다며 전문직용 H-1B 비자 수수료를 인상한 가운데 상원도 H-1B 소지 근로자를 대거 채용한 주요 기업들을 상대로 이들 고용과 미국인 일자리 증감 사이에 연관성이 있는지 설명을 요구하며 압박에 나섰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5일 척 그래슬리(공화·아이오와) 상원 법사위원회 위원장과 딕 더빈(민주·일리노이) 법사위원회 간사가 전날 아마존 등에 서한을 보내 다른 일자리를 줄이면서도 H-1B 비자 소지자 수천 명의 고용을 유지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설명해달라고 요청했다고 보도했다.
상원의원들은 구체적으로 H-1B 소지자 고용 현황, 이들이 받는 임금, 이들을 채용하는 과정에서 미국인이 일자리를 잃었는지 여부 등에 대한 자료 제출을 요구했다.
아마존 이외에도 애플, JP모건, 구글,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월마트 등도 같은 내용의 서한을 받았다. 자료 제출 기한은 다음 달 10일이다.
WSJ은 이번 조치가 트럼프 대통령이 H-1B 신규 신청 수수료를 대폭 인상해 미국 기업들이 혼란이 빠진 지 일주일도 되지 않아 나왔다며 미국 의회가 H-1B 비자 문제에 대한 감시 강화에 가세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실제로 상원은 전문직 비자를 통한 노동자를 가장 많이 받는 아마존의 앤디 제시 CEO에게 보낸 서한에서 "국내 인재들이 모두 주변부로 밀려난 상황에서 아마존이 이러한 자리를 채우기 위해 미국인 기술직 인력을 찾을 수 없었을 것이라고 믿기 어렵다"고 밝혔다.
아마존은 2025년도 회계연도 기준으로 총 1만4천667명의 H-1B 비자 소지자 채용(신규·연장·고용주 변경 등 포함)을 승인받았다. 마이크로소프트, 메타는 각각 5천189명, 5천123명의 H-1B 비자 소지자 채용을 승인받았다.
미국의 H-1B 비자는 과학·기술·공학·수학(STEM) 분야의 전문 직종 종사자가 받을 수 있으며 추첨을 통해 연간 8만5천건만 발급된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19일 H-1B 비자 수수료를 연간 1인당 1천달러에서 그 100배인 10만달러(약 1억4천만원)로 증액한 데 이어 지난 23일에는 고임금·고숙련 근로자에게 유리하게 H-1B 비자 선발 방식을 바꾸는 내용을 담은 개편안 초안을 연방 관보에 올리며 해당 비자 발급의 문을 좁히고 있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